react-native-webview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웹앱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지난 글에 이은 두번째 react-native-webview 활용 방법에 대한 글이다. 이번 글을 잘 이해하려면 지난 글에서 다룬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지난
schema.orgstructured data는 html 태그로 전부 나타내지 못하는 의미를 검색 엔진에게 추가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화된 데이터이다. 구글에선 리치 스니펫에 많이 사용되는데 이런 정보들을 검색엔진에 제공하는 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해 구글, 야후, ms 등
회사에서 프론트엔드 코드를 다시 쓰는 리빌딩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인데, 이를 위해 nextjs로 웹 개발을 하고 앱은 React Native와 react-native-webview를 사용해서 nextjs 프로젝트를 띄
RN 안드로이드 빌드를 처음부터 하면서 알았던 내용들aab와 apk의 차이apk : Android Application Packageaab: Android App Bundle => 앱의 서명 및 다양한 번들을 합치는 과정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맡길 수 있다는 차이점.
Observer pattern의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한 지난 게시글을 작성하며 '반응형'이라는 키워드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1) 반응형 프로그래밍과 이를 구현한 (2) Rx에 대해 이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In computing, reacti
개발을 하다보면 어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떠오를 때가 있다. 그러면 보통 유지보수 및 확장성, 로직의 명료함 등등을 고려하여 그 중 하나로 선택 후 구현을 하는데 아직까지는 스스로의 선택에 100% 확신을 갖지는 못하고 있다. 개발 중 이러한 작업
첫 직장 입사 8개월차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업무 일지 겸 기록입니다.혹시 내용을 잘못 알고 있다거나, 더 좋은 방법이 떠오르신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거에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장고에서 order_by 를 사용하면 모델의 쿼리셋을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