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표준이란 W3C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이다.
크롬, 엣지, 사파리, 오페라, 파이어폭스 등 최신 웹 브라우저들은 모두 웹 표준을 지원하기 때문에 웹 표준에 맞춰 페이지를 작성하면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든 동일하게 보이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웹 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다.
Semantic HTML란 의미가 있는 html 구조를 의미한다.
의미가 있다는 말을 html구조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 예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는 뜻이다.
요소 종류 | 설명 |
---|---|
<header> | 페이지나 요소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머릿말 역할 |
<nav> | 메뉴, 목차 등에 사용 |
<aside> | 문서와 연관은 있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내용 |
<main> | 문서의 메인이 되는 주요 콘텐츠 |
<article> | 게시글, 뉴스 기사 등 독립적으로 구분해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 각각의 <article> 을 구분하기 위해 보통 <hgroup> 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 |
<section> | 문서의 독립적인 구획을 나타내며, 딱히 적합한 의미의 요소가 없을 때 사용. <hgroup> 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
<hgroup> |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요소로, <h1> ~ <h6> 요소가 <hgroup> 이다. |
<footer> | 페이지나 요소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꼬릿말 역할 |
<a href=""> <h1>나쁜 예시 1</h1> </a>
<span> <div>나쁜 예시 2</div> </span>
<b>
, <i>
요소 사용하기<b>
, <i>
요소대신 같은 역할을 하는 <strong>
요소와 <em>
요소 사용하기<hgroup>
마구잡이로 사용하기<br />
연속으로 사용하기<br />
사용하지말고 새로 단락을 만들어 구별해 css 속성으로 조절한다.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이란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 없이 동등한 화면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동등한이란 모든 브라우저에서 완전히 똑같이 화면이 보이지는 않더라도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등한 수준의 정보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란 검색 엔진의 작동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최적화해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SEO은 On-Page SEO과 Off-Page SEO 두 종류가 있다.
<title>
요소<title>
요소는 검색 결과창에서 제목에 해당하는 요소로, <head>
요소의 자식 요소로 작성한다.
<title>
요소는 적당한 길이어야 하고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면 상위 노출 확률이 높아진다
<meta>
요소<meta>
요소해당 웹 사이트에서 다루고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요소로 <meta>
요소도 <head>
요소의 자식 요소로 작성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meta>
요소는 검색 결과창뿐만 아니라 웹 사이트의 링크를 공유했을 때 뜨는 미리보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meta name="속성값" content="내용" />
name 속성값 | 설명 |
---|---|
description | 콘텐츠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검색 결과에서 제목 밑에 뜨는 내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
keywords | 웹 페이지의 관련 키워드들을 나열할 때 사용합니다. |
author | 콘텐츠의 제작자를 표시합니다. |
<meta property="속성값" content="내용" />
property 속성값 | 설명 |
---|---|
og:url | 페이지의 표준 URL입니다. |
og:site_name | 사이트의 이름입니다. |
og:title | 콘텐츠의 제목입니다. |
og:description | 콘텐츠에 대한 간략할 설명입니다. 검색 결과에서 제목 밑에 뜨는 내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
og:image | 미리보기로 표시될 이미지입니다 |
og:type | 콘텐츠 미디어의 유형입니다. 기본 값은 website로, video, music 등의 유형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
og:locale | 리소스의 언어로, 기본값은 en_US입니다. 한국은 ko_KR입니다. |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cdn.pixabay.com/photo/2023/01/31/05/59/zebra-7757193_960_720.jpg"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타이틀"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설명" />
참고) meta 타이틀 없으면 <title>
가 대신 출력된다.
타이틀이 너무 길면 설명이 생략된다.
meta 이미지가 없으면 body에 있는 이미지가 나온다.
<hgroup>
요소콘텐츠를 작성할 때 핵심 키워드를 의식해서 <hgroup>
요소에 넣어주는 것도 SEO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똑같은 키워드를 반복하면 역효과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핵심키워드와 비슷한 키워드나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