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N 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
vpn의 목적
vpn은 공용 네트워크 (예:인터넷)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서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나 기기가 안전하게 사설 네트워크 ( 사내 랜 )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주요기능
- 암호화
-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전송 중에 데이터가 도청되더라도 내용을 알 수 없게 만듭니다.
- 인증
-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여, 허가된 사용자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터널링
-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터널을 형성합니다.
동작원리
- VPN클라이언트와 서버 설정
- VPN을 사용하려면 사용자의 기기에 VPN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 VPN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VPN서버와 연결을 설정해야 합니다.
- 터널링 프로토콜 사용
- VPN은 데이터를
터널링 프로토콜
을 통해서 전송합니다. 일반적인 터널링 프로토콜로는 PPTP
, L2TP
, IPSec
, OpenVPN
등이 있습니다. 주로 IPSec
을 사용하며, 이 프로토콜들은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되도록 합니다
- 데이터 암호화
- 사용자가 VPN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VPN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VPN서버로 전송합니다. 이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제 IP 주소는 숨겨지고, 대신에 VPN의 IP주소가 사용됩니다.
- VPN 서버역할
- VPN서버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받아서 복호화한 후, 해당 데이터를 목적지(인터넷 상의 웹사이트 등)로 전송합니다. 이 과정에서 VPN 서버는 사용자의 프록시 역할을 하여, 사용자 대신 목적지와 통신합니다.
- 반환 데이터 처리
- 목적지에서 돌아오는 데이터도 VPN서버를 거쳐 사용자의 기기로 전달됩니다. 이 때 데이터는 다시 VPN서버에서 암호화되어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후, 사용자 기기에서 복호화 됩니다.
시나리오
- 회사 직원의 원격 접속
김민수
라는 직원이 재택 근무를 하며,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싶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김민수씨는 VPN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회사의 VPN 서버에 접속합니다.
-
터널 형성
김민수
와 회사의 VPN 서버 간에 암호화된 터널이 형성됩니다.
-
안전한 데이터 전송
김민수
씨가 회사 내부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모든 데이터는 이 터널을 통해 암호화되어 전송됩니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민수
씨가 어떤 데이터를 주고 받는지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