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해 볼 문제
1) 사회현상간의 관계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2) 과학적 연구와 비과학적 연구방법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 비과학적 지식: 합의
• 과학적 지식: 합의 + 경험을 모두 중시,논리적이고도 경험적이어야 함
과학(적지식)의 양대 지주는 논리(논리적 예측)와 관찰(경험적 검증)
1) 전통에 의한 방법
- 역사가 오래되 '지식'을 수용(=합의)
예)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 전통에 의한 지식도 유용할 수 있음(일부 통찰력 가능), 아무 토대가 없이 처음부터 출발해야 하는 부답을 덜 수 있게 함
2) 권위에 의한 방법
- 견위를 가진 인물/기관 등으로부터 지식을 획득
예) "믿음과 소망과 사랑 중에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 권위에 의한 지식도 유용할 수 있음
- 전통,권위 도 진실 추구에 방해가 될 수 있음
3) 직관에 의한 방법
- '이성'과 일치할 수 있으나 '경험'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지식
예)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 선험에 의한 지식도 진실 추구에 방해가 될 수 있음
• 이론(theory) vs 현실(reality)
->이론이란 실제를 설명하는 과학적 지식
• 도입사례 검토
개인의 입장: 정식횡단보도 vs. 간이횡당보도 이용?
지방정부의 입장: 횡단보도의 종류 결정
-> 횡단보도의 이용과 관련된 객관적인 지식 창출이 필요
설명1) 횡단보도선 표시여부 -> 사고건수?
설명2) 차량/보행자의 수 -> (정식) 횡단보도 통과 /이용빈도 -> 사고건수?
-> 관심현상 ㅘㄴ련 과학적 지식에 기초한 개인/ 공 - 사 조직의 의사결정
-> 사회구성원의 복지 증진
• 연구방법론: 과학적 지식을 창출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사회현상간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소비/생산하는 방법
->개인/조직의 각종 의사결정/행동에 많은 도움
예1) 개인의 의사결정
예2)사/공조직 의사결정
예3) 개인의 지식생산
예4) 사/공조직의 지식생산
•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핵심
○ (사회)현상에 대한 설명을 '어떻게' 발견할 것인가
예) "왜 기업들은 큰 비용을 지불하며 유명인을 이용한 광고를 할까?
예) "X가 Y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일거야"
○ 논리적 해답: "X(예: 유명인을 이용한 광고)는 Y(예: 유명인이 출형한 광고의 판매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잠정적 해답: 아직 X(예: 유명인을 이용한 광고)와 Y(예: 광고의 판매효과)간의 관계가 경험적으로도 존재하는 지 미확인
-> 논리와 경험에 기초, X와 Y 간의 관계가 경험적 관찰을 통해 확인되면 논리적 증거와 경험적 증거가 일치하는 과학적 지식이 창출되게 되는 것
1) 연구문제 정의: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1. 현상에 대한 호기심, 관심 혹은 흥미에서 시작
예) 은하수에 대한 관심
2. 현실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시작
3. 기존 지식에 대한 연구자의 ㅜㄹ만/의구심 등에서 시작
2) 가설설정: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 제시
○ 연구문제를 경험적인 조사가 가능한 형태로 논리적으로 정리
○ 가설: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답(tentative answer)
*조사연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들간의 '잠정적인' 관계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
-> 기존 이론에 기초해서(도움하에) 연구가설 형태로 정리됨
3) 연구설계: 연구문제에 대한 과학적 해답을 얻기 위한 연구계획 수립
○ 연구설계: 과학적 연구과정의 주요 부분에 대한 계획
○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도록 짜여진 '연구의 계획(plan)및 구조(structure)
• 계획: 연구의 전체적 그림(scheme)
• 구조: 연구대상 현상(즉,'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model)
○ (a) 어떠한 대상/현상들을, (B)어떻게 관찰하고, ©관찰결과 어떻게 분석할지를 계획하는 것
○ 이후 4단계~7단계: 연구설계의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함
• 개념(concept):어떠한 현상(phenomenon)이 아닌 일반적 특징(common properties)
• 측정(measurement)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ㅏ물/ 사상과 연결하는 과정
->과학적 지식창출의 핵심
○ 가설형태로 표현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ㅕㄴ구문제의 대상이 되는 사회현상에 어떻게 부호(symbol)혹은 숫자(numeral)를 부여할지를 결정하는 것
○ 과학적 지식이 특징인 객과성(objectivity)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
• 연구대상 현상을 구체적으로 관찰(observation)하는 단계
• 연구대상 현상에 대한 실제 관찰을 통해 ㅏ료를 수집
• 저웃조사 vs 부분조사
• 표본조사: 표본선택, 표본크기, 표본 구성원 접촉 방법 등
• 계량적 자료 vs 질적 자료
- 수집된 자룔를 분석하는 단계
-> 각종 통계분석기법(statistical methods)이 핵심적 역할
• 기술분석, 상호관계분석, 인과분석
-> 질적 자료분석과 계량적 자료분석기법간 회색지대(grey area)존재
•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사례분석(case study)
• 이론: 현상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 논리와 관찰의 일치에 기초한, 현상간의 관계에 대한 정당화된 주장
• 연구가설: 현상간ㅇ의 관계에 대한 추측성 문장
○ 이론 및 논리적 추론에 기초해서 현상간의 관계를 추측하는 문장
○ 하나의 '주장'
• 이론의 발견 과정
○ 연구문제 정의 및 가설설정 단계
• 이론의 정당화 과정
○ 연구설계 이하 일반화까지의 과정은 발견 과정에서 제시한 주장, 즉 가설을 경험적으로 정당화하는 과정
->과학적 이론은 정당화된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