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과통게 1단원 정리

Johnny Lee·2022년 10월 10일
0

확률과 통계

목록 보기
1/15

이제 중간고사까지 일주일 남았다. 그래서 확률과 통계를 정리했다.

제1부 연구문제의 정의

- 제1장: 과학이란 무엇인가?

- 제2장 과학적 연구란 무엇인가?

- 제3장 연구의 대상: 연구문제

제1절 과학에 대한 이해

1. 과학의 의미

• Latin어 scientica(=knowledge)에서 유래
• 지식의 체계(system of knowledge)
• 세상을 설명해주는 지식체계
2. 과학의 목표
• 지식(knowledge)의 생산
• 세상(자연적.사회적 현상 및 현상들간의 ㅘㄴ계)을 이해하고 설명
이론(theory):현상(혹은 현상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설명

1. 현상의 이해

- 특정한 사회현상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화하고 정밀하게 이해하도록 함 
예) 인구조사

2. 현상의 설명

- 사회현상간의 관계에 대한 일반화 가능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
- '왜'라는 설명을 추가하는 것
예)팔/다리 저림 -> 비?
• 하나의 현상을 통제하면 다른 현상의 수준 예측 가능
-> 현상을(과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되는 것
-> 왜를 알고 난 뒤에(과학적) 예측과 왜를 모르는 상태에서의(비과학적)예측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음

3. 과학의 특징

1. 검증가능성
- 과학(science)이 다른 유형의 지식체계(에: 신화[단군신화])와 다른 점은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지식이라는 점
• 과학과 도덕(morality)
• 신화 =허구?
• 지식이 검증 가능 하려면, 제3자에 명백히 그 내용이 전달되어야 함
->특수용어(개념:concept)필요
• 이론: 개념들을 사용하여 ㅚ현상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
• 개념(concpet):어떠한 현상(phenomenon)이 지닌 일반적 특징(common properties)을 지칭 
	*개념들은 사회에서 평가하는 유용성여부에 따라 변화한다. 
예) 중량(weight)->무게? 크기?
2. 측정[Measurement]
- 추상적인 개념을 우리들이 이해하는 ㅜ체적인 사물/사상과 연결하는 과정
- 과학적 지식창출의 핵심
예1)"물체의 중량이 무겁다"
예2)"물체의 중량이 100kg이다
3. 과학의 대상
1) 과학(science)=현실(be)을 연구함
2) 이념(ideology)=당위(should)를 다룸
• 사회과학과 가치관
예)인간 줄기세포연구(human stem cell research)
4. 과학의 이상과 현실
1) 과학의 이상: 완전한 이론의 세계
2) 과학의 현실: 불환전한 이론과 가설의 세계
• 가설(hypothesis):개념들간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기대
-> 사회과학 분야의 과학적 예측의 경우 상당한 오차를 수반하기도 함
	->측오차의 존재를 미처 고려하지 못한 다른 설명요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출발점으로 삼는 자세가 필요함
5. 과정으로서의 과학
- 과학을 지식이라고 산출물 입장이 아닌, 지식을 산출하는 과정(process)으로 이해(과학에 대한 동적인 견해)
-> 지식은 끈임 없이 수정되고 다시 산출되고 있기 때문.
- 과학의 과정에는 경험의 세계와 추상의 세계가 상호 공존하는 체계

귀납법 vs 연역법

귀납법:
관찰과 경험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에서 비롯한 성향을 바탕으로 결론을 추출함.

Ex) 백조1은 하얗다 > 100번째 백조도 하얗다 > 그러므로 모든 백조는 하얀색일 것이다.
귀납법 (Induction) 또는 귀납추론 (inductive reasoning) 또는 귀납논리 (inductive logic) 는, 전제 (premise) 가 주어졌을때 그 결론 (conclusion) 이 사실일듯 하지만 사실이 아닐수도 있는 (확실하지는 않은) 추론 의 과정이다.
링크텍스트
링크텍스트

연역법:
연역법, 연역추론이라고도 한다. 귀납논증과 함께 논리학의 두 축을 이루고 있다. 흔히 '보편적 사실로부터 구체적 사실을 추론해내는 방식'이라고 일컬어진다. 연역논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전제가 참이라면 결론은 필연적으로 참이다"라는 것이다.
링크텍스트

일반적으로 알려준 이론을 어떠한 현상에 대입시켜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림

Ex) 모든 사람은 죽는다 >조조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조조는 죽는다.

링크텍스트

profile
You can always be bett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