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대상 선정
○ 연구문제(research problem)의 정의
2) 연구 동기
a. 현실문제 해결: 기업의 경영성과 미미, 구가의 국민소득 감소 등
b. 사회현상에 대한 흥미/관심: 예) 왜 부동산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가?
c. 기존의 사회과학 이론에 대한 문제 인식
연구문제: 과학적 탐구를 개시하게 하는 질문(question) 혹은 쟁점(issue)
○ 연구문제가 개인, 조직의 의사결정과 관련(relevant)이 있는가 여부
○ 구문제의 이론적, 실제적 효용 여부
예) 횡단보도관련 연구문제
예2)유명인의 광고효과
○ 연구문제간 경합시 ㅏㄱ 연구문제의 중요도 순서대로 연구
기존연구 탐색
1. 분야별 전문학술지(world politics, human relations 등)
2. 학술대회 논문집
3. 학위논문
언론보도 자료
Ex)신무,잡지,방송 자주 등장하는 주제
경험
직/간접저긍로 경험한 사회현상이 개인이나 조직의 의사결정에 관련이 있음
•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 연구현상의 기초적 이해
• 기술적 연구(descriptive research): 연구현상의 깊은 설명
• 인과관계 연구(causal research) 연구현상간의 원인과 결과 규명
○ 특정 사회현상과 친숙해지기 위하여 혹은 특정 사회현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진행되는 연구
->사회현상이 새로운현상(인터넷 중독, 아바타 중독) 또는 사회현상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도 기존의 연구가 전혀 없어서 연구자에게 새로운 현상일 경우
○ 연구방법: 현장연구(field research),문헌조사,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등
○ 계량적 자료(quantitative data) 및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사용
○ 현상에 대한 idea 제공, 기술적 연구/ 인과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
○ 그러나 연구의 대표성(representativeness)에서 결정적 단점이 있음: 탐색적 연구의 결과각 연구 현상을 대표한다는 보장이 없다.
○ 시회현상을 기술하는 목적 하에 수행된는 연구
->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자신이 관찰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게 됨
예) 인구조사(인구 census),상품의 시장조사
○ 계량적 자료(quantitative data)및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사용
○ 질적 자료를 통한 기술적 연구도 특정 현상에 대한 자세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도움이 됨
○ '왜'에 대한 답까지 주는 연구
○ 사회현상들간에 존재할 수 있는 원인과 결과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
예) 기업성과 영향/결정요인
-> 인과관계의 성립에는 엄밀한 조건 충족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