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바인딩

렐루·2023년 5월 2일
0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는 프로퍼티 또는 메서드를 추가히기 위해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방식은 먼저 생성자 함수를 정의한 이후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는 단계가 추가로 필요하다.
생성자 함수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먼저 생성자 함수가 필요하다.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음.

this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됨. 코드 어디서든 참조 가능.
this가 가리키는 값, 즉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객체 리터럴의 메서드 내부에서의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

메서드 내부의 this에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즉 메서드를 호출할 때 메서드 이름 앞의 마침표 연산자 앞에 기술한 객체가 바인딩된다.
메서드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소유한 객체가 아닌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된다는 것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this는 객체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하기 위한 자기 참조 변수이므로 일반적으로 객체의 메서드 내부 또는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만 의미가 있다.(메서드 내부에서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utton class="btn1">0</button>
    <!-- <script defer src="./globalVariable.js"></script> -->
    <script>
      class App {
        constructor(tag) {
          this.$button = tag;
          this.count = 0;

          this.$button.onclick = this.increase;
          console.log(this);
          // return this;
        }

        // increase = function () {
        //   return (this.$button.textContent = ++this.count);
        // };
        increase() {
          console.log(this);
          // 콜백 함수로 넘겨져 html element의 메서드로서 호출이 되어 this는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되게 된다.
          return (this.$button.textContent = ++this.count);
        }
        // increase = () => {
        //   return (this.$button.textContent = ++this.count);
        // };
      }

      const btn_1 = document.querySelector(".btn1");
      new App(btn_1);
    </script>
  </body>
</html>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index.html:29 Uncaught TypeError: Cannot set properties of undefined (setting 'textContent')
at HTMLButtonElement.increase (index.html:29:36)
아래와 같은 오류 코드를 받게 된다.

클래스의 프로토타입 메서드 increase가 textContent 프로퍼티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increase 메서드 내부에서 this.$button를 콘솔로 찍어보게 되면 undefined를 받게 된다.
그리고 this를 찍어보면 html element인 button이 나온다.

이유는 this 바인딩에 있다.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increase 메서드는 this.$button.onclick에 할당되었다.
따라서 increase 메서드는 콜백으로 넘겨서 유저가 버튼을 클릭할 때 호출이 된다.
따라서 호출한 객체는 인스턴스가 아니라 html element인 button이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funcrion 프로토타입의 bind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bind 메서드를 사용하여 전달한 값으로 this 바인딩이 교체된 함수를 새롭게 생성하여 this를 정상적으로 바인딩 해주면 해결된다.

profile
프론트 공부중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