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hanbit.co.kr/academy/books/book_view.html?p_code=B8573612142
목차
6장 진짜 문제 정의
6.1 진짜 문제 정의하기
6.1.1 문제 정의란?
6.1.2 진짜 문제 정의 실패 사례
6.1.3 문제 정의 과정
6.1.4 5whys를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6.1.5 파레토 도표를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6.1.6 원인-결과 도표를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실습과제 | 학습정리
<5장 학습정리>
1. 넓은 의미에서의 문제 정의와 좁은 의미에서의 문제 정의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문제 정의(problem definition)란 넓은 의미에서는 진짜 문제 정의(real problem definition)와 문제 점검을 모두 포함하고, 좁은 의미에서는 진짜 문제 정의만을 의미한다.
*문제 정의의 개념
=> 넓은 의미의 문제 정의 : 진짜 문제 정의 + 문제 점검
좁은 의미의 문제 정의 : 진짜 문제 정의
인식된 문제와 진짜 문제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진짜 문제 정의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근본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찾아내는 것으로, 표면에 쉽게 드러나는 인식된 문제(perceived problem)가 아닌, 근본 원인을 내포하고 있는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다.
*문제 정의하기
=>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근본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진짜 문제’를 정의해야 정확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5whys를 활용해서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5Whys는 ‘왜(why)’라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은 반복하면서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대개 5번 정도 질문하면 문제의 핵심이 드러난다고 해서 5Whys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퇴근해서 집으로 가는 길에 자동차가 갑자기 멈추었다고 하자. 5Whys를 활용해서 자동차가 갑자기 멈춘 근본 원인을 찾아가는 과정을 요약하면 [표 5-2]와 같다.
파레토 도표를 활용해서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 문제 상황 요약하기
(2) 최초로 인식된 문제 정의하기
(3) 설문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파레토 도표 작성하기
(4) 진짜 문제 정의하기
원인-결과 도표를 작성하는 순서를 나열하시오.
오른쪽에 타원을 그리고, 그 안에 해결해야 할 문제(결과)를 작성한다.
타원의 왼쪽에 생선의 등뼈에 해당하는 굵은 직선 화살표을 그린다.
생선의 등뼈에서 45도 경사선 형태로 가지를 그린다.
문제의 모든 원인을 브레인스토밍한 후 범주로 구분한다.
각 가지 끝에 원인의 범주를 작성한다.
덜 중요한 원인은 머리 부분에, 가장 중요한 원인은 꼬리 부분에 작성한다.
필요하면 하부 가지를 수평선 형태로 추가한다.
하부 가지보다 한 단계 낮은 가지는 다시 45도 경사선으로 그린다.
6.2 기술적 모순 분석을 활용하여 진짜 문제 정의하기
6.2.1 모순이란?
6.2.2 기술적 모순이란?
6.2.3 기술적 모순 분석을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6.2.4 기술적 모순 분석을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사례
실습과제 | 학습정리
6.3 물리적 모순 분석을 활용하여 진짜 문제 정의하기
6.3.1 물리적 모순이란?
6.3.2 물리적 모순 분석을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6.3.3 물리적 모순 분석을 활용한 진짜 문제 정의 사례
실습과제 | 학습정리
기술적 모순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기술적 모순(technical contradiction)
우리 주변에 볼 수 있는 기술적 모순의 예를 하나 이상 제시하시오.
기술적 모순 사례 : 전기 자동차의 기술적 모순
기술적 모순 분석을 통해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문제 관련 정보 수집하기->기술적 모순 분석하기->기술적 모순 선택하기->진짜 문제 정의하기
물리적 모순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물리적 모순(physical contradiction)
우리 주변에 볼 수 있는 물리적 모순의 예를 하나 이상 제시하시오.
에어컨 온도
쾌적함을 위해서는 ’24도 이하‘로 설정해야 하고,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26도 이상‘으로 설정 해야 한다.
물리적 모순 분석을 활용하여 진짜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1단계 : 문제 관련 정보 수집하기
2단계 : 물리적 모순 분석하기
3단계 : 모순 상황 도식화하기
4단계 : 진짜 문제 정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