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5] Github 배포

이트루·2023년 12월 28일
0

🌵TIL

목록 보기
5/17

[머리말]
Github는 주로 협업을 하면서 코드 공유, 개발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했었다. 필자는 스스로 배포를 해본 경험이 없는데, 이번에 Github를 통해서 배포를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 Github Pages?

Github에서는 레포지토리에서 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도록 Github pages 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Static web site를 호스팅 할 수 있으며, 도메인으로 github.io 를 제공한다.
static web site에 관한 자료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참고하도록 하자.

2.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

  1. github repository를 생성한 후, 배포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github과 연동한다. (local project를 원격 저장소와 연결한다.)
  2. 생성된 repository에서 settings > pages 에 접속한다.
  3. Branch에서 배포할 branch를 선택한다.
  4. 잠시 기다리면 배포가 완료되며 url을 받을 수 있다. 끝!

[배포 시 주의사항]

  • 작성한 코드 내부에 중요한 key들이 공개되어있지는 않은지 꼭 확인해보자!
  • github에 코드를 올리는 것은 private으로 작성하지 않는 이상 모두가 볼 수 있으므로, 보안에 유의하여 코드를 올리자.

3. 배포 이후 유지/보수는 어떻게 하는가?

git과 연동된 파일이 remote에서 update되면, 배포된 파일 역시 수정된다. 그렇기에 branch에 유의하여 파일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가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굉장히 다양한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걸 볼 수 있다. (branch 별로 분류할 수 있다)

  • beta version (소비자 테스트 버전)
    : 정식 출시 이전, 제품 테스트와 오류 수정을 위해 일반인에게 배포하는 버전
  • alpha version (개발자 자체 테스트 버전)
    : 전문가의 테스트 및 수정/보완이 필요한 불안정한 버전
  • retail version
    : 안정성이 어느정도 검증된 완성(정식) 버전

정확한 것은 해당 소프트웨어의 문서를 찾아보는 것인데,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참고 자료]

[추가적인 궁금증]

profile
내 꿈은 세계정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