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테크코스 7기 FE Lv.1] 6주차 회고

유소정·2025년 3월 23일
0

🎯 이번주 Action Plan 회고하기

  • 내 생각을 전할 때 '핵심 문장을 찾는다' (줄줄 읽기X) 완료
  • 핵심 문장을 가지고 '청중을 보면서 얘기'한다. (노트 보면서 X) 완료
  • 말을 할 때 해명하지 않는다. (본질에서 벗어난 얘기X) 완료

대화할 때 막연히 내 정보를 전달하기보다는, 교감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느꼈다. 상대의 눈을 바라보며 이야기하니 진짜 내 마음과 생각을 꺼내어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천천히, 그리고 차분하게 말하니 생각이 정리되어 횡설수설하지 않게 되었다. 꼬이던 발음 실수도 줄어들었다. 느리게 말한다는 건 나를 위한 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상대가 내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일이기도 했다.

그러니, 상대를 바라보며, 천천히, 차분히 말하자!

🍵 힘들었던 한 주

‘점심 뭐 먹지’ 미션을 마무리하자마자, 바로 ‘영화 리뷰’ 미션에 들어갔다. 그런데 사실, 나는 여전히 ‘점심 뭐 먹지’를 하면서도 해결하지 못한 고민 하나를 붙잡고 있었다. 바로 컴포넌트를 함수형으로 짤까, 클래스형으로 짤까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었다.

그래서 은근히 ‘점심 뭐 먹지’를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구현한 페어와 매칭되면 좋겠다고 기대했었다. (나는 함수형으로만 구현해봐서, 실제 사용상의 차이점을 느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쉽게 기대는 이뤄지지 않았다.

함께한 페어는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지 오래되지 않은 분이었고, 그래서인지 적극적으로 의견을 나누기보다 나의 흐름에 동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자체로 문제가 있는 건 아니었지만,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는데도 혼자 판단하고 결정해야 하는 시간이 조금 더 버겁게 느껴졌다. 의견 없이 코드를 짜고, 그 코드를 내가 먼저 의심하고, 또 고치고, 그 모든 과정을 혼자 반복하는 느낌은 조금 외로웠다. 그리고 점점 내가 너무 주도하고 있다는 생각에 페어에게도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나는 실력과 상관없이 누구와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이번 미션에서는 그러지 못하면서 이 생각이 흔들리고 있다.

혼자서만 의견을 제시하고 결정하는 일이 생각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일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게다가 이번 구현은 나에게도 처음이라, 의견 하나하나가 도전이자 실험이었기에 과정이 유독 어렵게 느껴졌다.

결국 마음에 들지 않는 코드를 제출했다. 이제 피드백을 반영해야 하는 데 읽는 것도 부담스럽고 막막하다. 게다가 다음 주에는 테코톡 발표까지 있어서 PPT와 대본 준비가 또 다른 스트레스로 다가온다.

지금은 그냥… 모르겠다. 😮‍💨

🎯 다음주 Action Plan 은?

  • 나에게 시선이 집중되는 상황을 견뎌보기

나는 준비되지 않은 주제에 대해 시선을 받는 것이 어려운 것 같다.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머릿속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질문이 이어지면, 그 대답하는 시간 자체가 부담스럽게 느껴진다.

그래서 나는 자연스럽게 다른 화제를 꺼내거나,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넘긴다. 무의식적으로 그 시선을 분산시키려는 거다.

프로그래밍 이야기를 할 때는 이상하게도 그다지 부담스럽지 않다. 오히려 연애, 학교생활 같은 일상적인 이야기를 할 때 시선이 더 무겁게 느껴진다. 그 감정은 단순히 ‘시선이 불편해서’라기보다는, 어딘가 더 깊은 이유가 있을 것 같다.

(노래방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떤 곡을 부르기 시작했는데, 그 노래가 잘 어울리지 않거나, 가사가 반복되어 지루하게 느껴지면 끝까지 부르지 못하고, 중간에 끊고 싶어진다. 빨리 마이크를 넘기고 싶은 마음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노래방이 일상 대화와 같은 맥락인지는 모르겠지만, 같은 느낌을 받는다.)

profile
기술을 위한 기술이 되지 않도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