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후 날리는 쿼리문에서, index를 생성만 한다고 치면 PUT이 맞는데, 생성과 동시에 데이터를 인덱싱 하려면 POST가 맞지 않나 의문또, 따로 타입을 지정하라는 요구사항이 없는데 mapping을 내가 작성해두는게 맞을지?mapping은 source index
설정한 role과 user는 어떻게 테스트 할 수 있는지 질문할 것user 생성 시, role을 여러 개 선택할 수 있는 것 같던데 선택한 role 사이에 권한이 충돌하면 어떻게 되는지?task1_role : 문제 조건에 맞는 role 설정task1 이외의 모든 인덱스
조건에 맞추어 User와 Role 설정하는 문제lab에서 실습하지 않은 내용이지만, 키바나 잘 확인하면 무리 없이 작성 가능query를 사용해 범위를 좁히고, 중첩 구조의 aggregation을 진행하는 문제lab에서 진행하던 것과 상황 설정만 다를 뿐, 거의 같음dy
5.2장 solution 5번runtime이라고 이름을 붙인 aggregation의 결과를 보면, runtime 내에 values가 있고, 또 이 내부에 50.0과 그 결과가 있는 구조임이 결과를 활용해서 정렬을 진행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인데, request를 보면 r
highlight내에서 pre_tags, post_tags로 사용할 태그를 지정할 수 있음\[]로 감싸져 있어서 여러 개의 태그를 담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아래처럼 작성해봄그런데 여전히 결과는 <strong>, </strong> 태그로만 감싸져 나오
constant keyword 필드를 data stream 인덱스에 설정해두면 rollover 될 때마다 가장 처음 들어오는 document에 의해 그 값이 결정됨default로 rollover 되어도 같은 값을 유지하게 할 수 있음\-> 모든 인덱스가 같은 값을 가진
1.2장 solution2번답안에는 PUT으로 되어있는데, POST로 작성해도 문제 없이 돌아가긴 함t2_my_index에서 자료를 보면 하나밖에 안 들어있는데, Index Management 메뉴에서 보면 document가 2개로 뜸하나는 뭘까?blogs 인덱스도 자
aliases 실습 과정 중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다.위 코드를 순서대로 실행하면, 현재 write 설정된 인덱스는 2초간만 유효하기 때문에 바로 다음 넘버링 인덱스가 생성된다.그런데 이 설정이 계속 유지되는 건 아닌지 다음 넘버링이 나는 2초마다 생길 줄 알았는데, 한
5.3의 5번 solutionmoving_fn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르겠음6.1의 7번 solution=> node 3번이 보이지 않음primary 1, 2번이 각각 node1, node2에 배치된것은 확인했는데,replicas는 왜 모두 unassigned인지
\_source는 따로 설정해주지 않으면 default로 원본 자료의 모든 필드가 이 안에 담겨서 출력"\_source": \["필드명", ...]으로 어떤 필드만 담을지 선택할 수도 있음"\_source": false로 설정하면 해당하는 document의 인덱스 명과
mapping에서 분석기 만들어놓고, 필드 타입이랑 분석기를 지정해 줬는데도 document를 넣으면 keyword랑 다를 바 없이 "We love X-Pack"가 그대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 우리한테 보여줄 때에는 그렇게 보이고, analysis는 내부적으로 실행되
개념 추가 클러스터, 노드는 논리적인 개념이지 물리적인 개념이 아님 한 서버에 노드를 여러 개 올릴 수 있지만 서버 스펙이 좋아도 하나만 올릴 것이 권장됨 => 디스크를 공유하는 데에 있어서 속도가 영향을 받음 Shard 샤드는 Lucene의 한 인스턴스이다 = 샤드
Async search 오래 걸리는 query나 aggregation에 대해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거나 부분적인 결과 상황을 확인할 때 사용
Elastic Search는 검색, 분석을 위한 엔진맨 꼭대기에 있는 cluster, 그 아래로 각 실행흐름인 node, 그 아래 RDB의 테이블과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는 index가 존재클러스터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클러스터가 논리적으로 분리됨
polling일정한 주기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requeest를 보냄불필요한 request가 많아질 수 밖에 없음요청 주기가 짧으면 실시간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 실시간은 아님주기가 짧을수록 서버 부하가 커짐long pollingpolling이지만, 요청에 대한 응
순차적인 직렬 프로그램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단위를 병렬로 수행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래밍 기술직렬 프로그램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부분을 찾아병렬화가 가능한지 의존성 여부를 분석하고가능하다면 병렬화 패턴을 결정한 후실제로 병렬 프로그래밍을 구현위와 같은 순서
RDB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의미사전에 엄격하게 정의된 DB 스키마를 요구하는 테이블 기반 구조특징명확한 데이터 구조가 보장됨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지 않아 create, update에 유리확장은 다소 어려움undo, redo가 가능NoSQL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데이터 중복
다형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오버로딩같은 이름의 메소드가 여러 개 있는 것매개변수의 자료형이나 개수가 다른 것으로 어떤 메소드를 호출해야 하는지 구분할 수 있음오버라이딩상위 클래스가 가진 메소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아예 재정의하는 것내용을 덮어씌움
시간복잡도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짜여진 로직이 수행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다.절대적인 시간이라기 보다는 연산의 횟수를 나타내는 것이 조금 더 정확하다.시간 복잡도가 낮은 알고리즘이란, 값이 큰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더라도 그 결과값을 빠른 시간 안에 내놓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