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서버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구성을 재정비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VirturalBox 의 네트워크 설정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한다.
VirtualBox는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 옵션을 제공하여
각기 다른 네트워크 환경 요구에 맞출 수 있는데, 주요 네트워크 설정 옵션은 다음과 같다.
- Adapter Bridge
- Host Only Network
- NAT
- NAT Network
각 설정은 고유 특성과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어 적절한 선택을 통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원래는 '내부 네트워크' 옵션도 있지만, 회사 내에서 주로 사용되지 않는 옵션이라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외하였다. 따라서 총 4가지 설정의 세부 특징과 차이점을 중점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1. Adapter Bridge(Bridged Networkking)
1.1. 정의 및 구조도
1.2. 특징
- 가상 네트워크 어댑터를 실제 네트워크 어댑터에 연결(브릿지)한다.
- DHCP 서버가 있는 경우 게스트의 가상 네트워크 어댑터는 자동으로 IP를 할당 받는다.
- 게스트는 호스트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호스트와 동일한 IP 대역을 할당 받는다.
- 또한 물리적 네트워크 어댑터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2.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1. 정의 및 구조도

포트포워딩
네트워크 장치가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외부 트래픽을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IP 주소와 포트로 전달하는 기능이다.
2.2. 특징
- 게스트는 가상 네트워크에서 고정 IP를 할당 받는다. (Ex.10.0.2.15)
- 게스트는 호스트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나
- 외부 네트워크에서 게스트에 직접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 각각의 게스트는 독립적인 NAT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게스트간 통신 불가능
- 각 게스트들의 기본 게이트웨이는 10.0.2.2
2.3. 차이점
- [게스트→인터넷] : 호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인터넷 통신) 사용이 가능하다.
- [게스트↔게스트] : 각각의 게스트끼리 통신은 불가능하다.
- [호스트→게스트] : 호스트와 게스트 통신을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 [인터넷→게스트] : 외부 네트워크과 게스트 통신을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3. NAT Network
3.1. 정의 및 구조도

DHCP 서버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자동으로 IP 주소 등의 네트워크 설정을 할당하는 서버
3.2. 특징
- 게스트는 NAT 네트워크에서 별도의 DHCP 서버를 통해 각각의 IP를 할당 받을 수 있다.
- 게스트는 호스트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나
- 외부 네트워크에서 게스트에 직접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 동일한 NAT 네트워크 내에 있으므로 게스트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 기본 게이트웨이는 X.X.X.1 / 기본 DHCP 서버는 X.X.X.3 으로 할당된다.
3.3. 차이점
- [게스트→인터넷] : 호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인터넷 통신) 사용이 가능하다.
- [게스트↔게스트] : 각각의 게스트끼리 통신이 가능하다.
- [호스트→게스트] : 호스트와 게스트 통신을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 [인터넷→게스트] : 외부 네트워크과 게스트 통신을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4. Host Only Adapter
4.1. 정의 및 구조도

4.2. 특징
- 호스트에서 가상의 호스트 네트워크 어댑터를 생성한다. DHCP 서버도 따로 설정 가능
- 게스트는 가상의 호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IP를 할당 받을 수 있다.
- 게스트는 가상의 호스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없다.
- 동일한 가상 호스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므로 게스트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 호스트 또한 게스트 사이의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 주로 개발 및 테스트 환경에서 사용한다.
4.2. 차이점
- [게스트→인터넷] : 외부 네트워크 (인터넷 통신)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 불가능하다.
- [게스트↔게스트] :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어 각각의 게스트끼리 통신이 가능하다.
- [호스트→게스트] :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어 호스트와 게스트 통신 또한 가능하다.
- [인터넷→게스트] : 외부 네트워크 (인터넷 통신)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 불가능하다.
5. Network Mode Access
각 네트워크 모드에 따른 접속 가능 여부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게스트→호스트 | 호스트→게스트 | 게스트↔게스트 | 게스트→인터넷 | 인터넷 →게스트 |
---|
Bridged | O | O | O | O | O |
NAT | O | 포트포워딩 | X | O | 포트포워딩 |
NAT Network | O | 포트포워딩 | O | O | 포트포워딩 |
Host-Only | O | O | O | X | X |
이번 포스팅에서는 VirtualBox의 네트워크 설정 옵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각 설정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각 상황에 맞게 적절한 선택이 중요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각 네트워크 설정 옵션에 따른 실습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