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rtualbox
고정 디스크 용량 늘리기
VBoxManage.exe modifyhd [VDI 위치] --resize [MB단위의 변경하고자 하는 크기] 기존 사이즈를 줄일 순 없습니다.

고정 디스크와 동적 디스크를 변환하는 방법
VBoxManage 명령 VirtualBox에서 고정 디스크를 동적 디스크 또는 동적 디스크를 고정 디스크로 변환하는 옵션은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는 표시되지 않으며 VBoxManage.exe 명령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VBoxManage.exe는 설치된 VirtualBox 폴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위치를 찾았다면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고 해당 경로로 ...

Redash 자세한 설치 방법 (Window 환경)
Redash 설치 참고 자료 https://velog.io/@vive0508/redash-on-docker docker 설치 참고 자료 https://velog.io/@hanjuli94/%EC%9C%88%EB%8F%84%EC%9A%B0%EC%97%90%EC%84%9C

Windows 환경에서 Virtual Box를 이용해 Ubuntu 설치하기
Windows 환경에서 VirtualBox를 이용해 Ubuntu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Ubuntu 20.04 Virtual Box 설치 완벽가이드
https://ahnchan.github.io/posts/Platform_virtualbox_ubuntu/
[Ops Engineer] SAMBA와 NFS서버 구축하기
SAMBA 삼바(Samba)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에서 개발한 SMB(Server Message Block)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해 윈도우와 유닉스계열의 운영체제나 다른 시스템 간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 - 현재 SMB 프로토콜은 유닉스
[VirtualBox] Network설정 및 포트포워딩
VirtualBox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왼쪽에 가상머신을 선택한 후에 위 그림과 같은 경로를 통해서 설정하게 된다.이 중에 몇가지만 소개한다.NAT : NAT 방식, Network Address Transfer 방식으로 가상의 NAT이 존재하여 Vbox 자체
[k8s]virtualbox로 쿠버네티스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책: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 2장 테스트환경 구축하기인프런 강의 :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 쿠버네티스 환경 구성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서버를 관리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연습하기 위해서 가상머신으로 여러 대의 노드를
[VirtualBox] 네트워크 설정
virtualBox는 초기 설정을 진행하여 시작한다. 이때 필요한 설정에 네트워크 설정이 있는데 VM이 IP할당을 어떻게 받아올지, 외부 네트워크와 어떻게 연결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Bridge방식 Bridge방식은 본 컴퓨터가 연결된 공유기에게서 직접 ip를 할당
Windows 환경에서 VirtualBox 를 이용하여 Ubuntu Server 구축하기
Windows 환경에서 VirtualBox 를 이용하여, Test 용 Ubuntu(Linux) Server (VM) 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리눅스 설치
리눅스란?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Linus Benedict Torvalds)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공개 운영체제다. 유닉스(Unix)가 중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리눅스는 work station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활용한다.
수업 73일차 Ansible
Visual Studio CodePowerShellVirtualBoxVisual Studio Code한국어로 변경하는법Ctrl + Shift + Planguage치면Configure Display Language => 한국어 변경PowerShellcd C:\\git_r

[VirtualBox] 응용프로그램 오류 메모리는 read될 수 없었습니다 오류
VirtualBox를 사용하던 중 한 VM이미지에서 이런 팝업을 받게 되었다.바빠죽겠는데 왜 너까지 열받게 해 엉엉하지만 뭐 어쩌겠어요 해결해야지..응용프로그램 오류여기저기 뒤져보니 virtualbox만의 문제는 아니고,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응용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오류

[Local 서버 구축] 2-1. 로컬 DB 서버 구축 - PostgreSQL, Dbeaver
VM을 생성하고 실행해서 ip 연결까지 확인했다면 이제 각각의 vm에 web, was, db를 구축해주면 된다. 각각의 vm을 실행시킨 뒤 터미널에서 설치를 해줘도 되지만 보다 편한 인터페이스를 위해 MobaXterm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겠다. MobaXterm

[Local 서버 구축] 1. VM 만들기 - Ubuntu, VirtualBox
로컬에서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상컴퓨터(vm)을 먼저 만들어주어야 한다. 내가 하고자하는 서버 구성은 하단의 그림과 같이 DB, WAS, Web 총 3개의 서버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vm도 서버 개수와 동일하게 3대를 생성한다. 서버 구성도 > * 하단의

[VirtualBox] 생성한 VM의 Computer Name 변경하는 방법
VM을 여러개 생성하는 경우 한대의 세팅이 끝난 VM을 복제하는 법이 가장 편하다. 다만, 이런 경우 설치과정에서 입력하는 vm의 userinfo를 건너뛰게 되기 때문에 vm이 전부 같은 computer name을 가지게 되어 터미널에서 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