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ed' Book Review

김현민·2022년 7월 22일
0
post-thumbnail

1. 성공하는 제품을 만들기 전 준비운동

실패하는 제품 프로세스의 문제점

아이디어의 출처 : 사장님의 아이디어
비지니스 케이스 : 가짜 비지니스 케이스
제품 로드맵 : 파랑새 로드맵
제품 관리자의 역할 : 제품관리가 아닌 프로젝트 관리
디자인의 역할 : 구색 맞춘 디자인
엔지니어 참여 : 기술자의 뒤늦은 등장
애자일의 미활용 : 구현에서만 활용되는 애자일
프로젝트 중심적 : 목표는 제품 출시
고객 검증 늦음 : 이 산이 아닌가봐요
기회 비용 : 돌아갈 길은 너무 멀고

Waterfall Process - 기존 제조업 방식
Vs
Agile
공정과 도구보다 개인과 상호 작용을
포괄적인 문서보다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계약 협상보다 고객과의 소프트웨어를
계약 협상보다 고객과의 협력을
계획을 따르기보다 변화에 대응하기를
(2001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문)
애자일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효율성'
발견 - 계획 - 검증 - 구축

스크럼 : 애자일의 방법론중 하나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상호, 점진적 개발 방법론
짧은 주기로 점진적이며 경험적으로 지속해서 제품을 개발하는 프레임워크
백로그들의 우선순위 설정하여 업무 진행

Lean Process (by Eric Ries)
Prototype을 통해서 제품을 완성해 감
Learn - Build - Measure
MVP(Minimal Viable Product) : 최소 기능 제품

왜 린과 애자일인가 : ex. 앱들의 지속적 업데이트
낭비 최소화, 협력, 신속, 사용자 중심, 효율

핵심 원칙
1. 위험은 마지막 보다 초기에 대응 한다.
가치위험/사용성위험/실현가능성/사업 유효성
2. 제품은 순차적인 방식보다는 함께 협업하고 정의되고 설계 된다
3.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한다. ex. 왓챠의 추천 기능

핵심 개념
총체적인 제품 = 비지니스 + 기술 + 사용자
ex. 마켓 컬리
기능 : 쇼핑, 구매, 환불, 재입고알림 등
기술 : 수요예측시스템, 물류 시스템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컨텐츠, 장바구니부터 구매까지
돈을 벌지 : 산지/공급사와의 직거래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고 획득하는 방안 : 새벽배송, 신선식품
오프라인 경험 : 종이 포장재

제품 발견
사용자들이 이 제품을 살 것인가
사용자들이 이 제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가
우리 엔지니어가 이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
우리 이해 관계자가 이것을 지지하는가
제품 백로그(제품 발견의 산출물)

프로토타입
ex. 에어비앤비
처음엔 엄청 간단한 사이트였음

제품 실행
기획(방향수립) → 디자인(구체화) → 개발(구현) → QA(검증)

PMF (Product Market Fit) - 제품-시장 적합성

제품 비전

EX. Netflix
비전 : 최고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배급 서비스가 되는 것
Netflix 1.0 : 추천 서비스 강화
Netflix 2.0 : 오리지널 컨텐츠 확대
Netflix 3.0 : 다운로드 기반 글로벌 확대
Netflix 4.0 : 콘텐츠 사업 경쟁력 강화

3. 어벤져스 집단, 제품팀의 구성원과 역할
용병팀 : 돈이 목적 / 미션팀 : 열정적인
How :자율성 + 권한과 책임 + 지속성
위계조직 → 역할 조직
Who : 제품관리자 + 디자이너 + 엔지니어
피자 두판의 법칙 : 회의에 참가하는 인원이나 팀원수 (8명)
참여인원수에 따라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건수
n(n-1)/2 리처드 해크먼
영향력-동기부여-일의능률
What : 일의 유형 + 일의 범위
일의 유형 : 개선, 개편, 구축
일의 범위 : 단일 제품 전체 , 유의미한 단위의 사용자 경험 담당
제품팀이 효과적인 이유
1) 협업을 위한 관계형성
2) 전문성 확보
3) 주인 의식과 책임감

PM 제품관리자 : 방향 정의
PO 제품소유자 : 방향 실행

제품 관리자 : 제품의 가치를 만들어 가는 사람
UX + Tech + Business
고객에 대한 이해
비지니스에 대한 이해
똑똑함 + 창의 + 집요함

제품 디자이너 : 체계적으로 구체화
제품 발견 - UX 디자인 - 프로토타이핑 - 사용자테스트
디자인이 상향평준화됨에 따라 디자이너의 중요성 ↑

제품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 : 제품의 가치
UX 디자이너 (UX Designer) : 제품의 유용성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 디자이너와 개발의 협력 필요성 책

개발자와의 커뮤니케이션
1. 아는척하지 않기 - 존중
2. 논리적으로 이야기하기
ex. 그림 중간에 사라지게 해주세요 → 2번째 이미지 3초간 사라지게 해주세요

개발자 : 사용 가능한 서비스로 구현
QA : 최종 검증을 통해 품질을 높임
제품 마케팅 매니저
제품 차별화 발견
포지셔닝 전략 수립
제품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용자 연구원
고객문제 발견
가설 검증
제품 평가
제품 개선점 도출

데이터 분석가
유용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유의미한 결론 도출

4.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

제품을 만든 건, 결국 사람
사람, 돈, 일 - 만족도 결정
리더쉽이란, 비전을 현실로 바꾸는 능력이다.- 웨렌 베니스

CPO 최고 제품 책임자 : 비지니스 관점에 기반한 총체적 제품 관리
CDO/CCO 최고 디자인/창의성 책임자 : 제품의 일관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CTO 최고 기술 책임자 : 총체적인 관점에서의 시스템 구현

CPO의 핵심역량

  • 팀개발 : 사람 성장시키고 조직 선도 - 리더쉽
  • 제품 비전과 전략 : 제품 비전을 만들고 보완
  • 실행 : 추진력/전문성/최선방법도출/문제해결 -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
  • 제품 문화 : 협업 문화 🧑‍💻 + ❤️ = 🤳
  • 경험과 화합 : 최선의 효율적 방안을 찾는 역할

CTO의 핵심 역량 - 비지니스와 제품을 위한 가능성 발견
스티브잡스와 워즈니악

  • 조직
  • 리더쉽
  • 제품 실행
  • 아키텍처
  • 제품 발견
  • 기술 전도사

제품팀을 나누는 원칙 - J curve에서 Scale up 단계에서 유용
스타트업의 J Curve

제품팀을 나누는 원칙
1. 투자전략과 연계 - Three horizons model - 시간과 가치의 축
(2. 상호 의존의 최소화
3. 주인 의식과 자율성) - 셀단위 조직
4. 레버리지 극대화 - 협업툴 활용
5. 제품 비전과 전략 - Why 제품의 가치 방향 공유
6. 팀의 규모 - 피자 두판의 원칙
7. 아키텍처와 연계 - 커머스 아키텍처, 쓱 닷컴 - 모듈화
8. 사용자 또는 고객과 연계 - 쿠팡 구매자 판매자 사이드
9. 비지니스와 연계 - 당근마켓 동네생활 커뮤
10. 구조는 움직이는 목표물이다 -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점검 변화 진단)

  1. 실패하는 제품 로드맵이 아닌, 성공하는 로드맵

제품 로드맵 - 우선순위 및 진행상황을 공유하는 정보

대상에 따른 로드맵의 형태
제품팀 : 우선순위 고객 가치, 출시 날짜
경영진 : 회사 목표와 전략 지원
판매 : 새로운 기능과 고객 혜택에 중점

ex. 제품 로드맵(지라) : 이니셔티브, 에픽의 우선순위 포함
Theme > Initiative > Epic > Story
Initiative - 제품팀의 프로젝트 단위

이니셔티브 : 우선순위, 목표일정 확인

결과 중심의 제품 로드맵 : 경영진이 원하는 것 (비지니스 가치)
→ 고객 사용성, 제품팀 동기부여, 회사 기회비용 떨어진다

경영진이 원하는 반응과 실제 고객이 느끼는 반응은 갭이 있다.

성과 중심 제품 로드맵 : 제품팀 스스로 움직일수 있는 로드맵
회사, 제품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함
문제에 공감하고,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경영진의 요구사항을 무시하라는 소리가 아니다.

경영진과의 공동의 목표, 효과적 솔루션 완성을 찾는 방법
Google Sprint - 5일간의 실험

제품팀을 '미션팀'으로 만드는 로드맵
동기부여, 발전성, 실패가능성 수긍 ↑

제품 관리자의 로드맵

profile
Better late than nev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