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한 웹 이용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보통 사람과 달리 웹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 ( 장애인, 노약자 등 ) 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웹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이를 위해 스크린 리더기, 마우스 스틱 등 보조기기를 이용하는데 보조기기가 읽게 하기 위한 방법들을 통해 접근성을 좋게 해야 합니다.
: W3C라는 국제 웹 표준화 단체에서 발표한 자료들에 기반해 만들어지는데,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던 또는 모바일, 태블릿 , PC 등 어떤 화면 사이즈에서 웹을 이용하던 어려움 없이 이용하도록 하는 표준 입니다.
웹 표준을 따라 효율적으로 짜여진 코드는 코드의 양도 줄고 동시에 서버의 부담을 줄여 줍니다.
보조기기로 신체적 어려움에 도움을 받는 사람들에게 좀 더 정확한 정보 전달이 가능 합니다.
불필요한 태그들을 사용하지 않고, 정해진 규격에 맞게 코딩하기 때문에 이후 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간편해집니다.
검색 로봇 수집을 통한 효휼적 노출과 같은 검색엔진 최적화가 가능 합니다.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 특정 브라우저 등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웹을 개발하는 기법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