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Type의 약어입니다. 웹 브라우저에게 해당 문서의 HTML 버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의 웹 페이지는 넷스케이프와 익스플로러 버전이 따로 존재했고 웹 표준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W3C가 웹 표준을 만들면서 기존 브라우저가 새롭게 만들어진 표준을 기반으로 웹사이트를 제대로 표현할 수 없게 되자 렌더링을 할 때 표준 모드(Standards mode)와
웹 접근성 & 웹 표준 & 웹 호환성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간에 상호 교환되는 정보를 정의하는데 사용 합니다.
'Semantic' 이란 의미론적인 뜻을 가지며 'Markup' 은 HTML문서 태그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시멘틱 마크업이란 의미가 잘 전달되도록 HTML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국어 페이지를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쿠키(Cookies) & 세션 스토리지(SessionStorage) &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
HTML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속성이 아닌, 개발자가 임의의 속성을 추가하고자 할 때 사용 합니다.
반응형 웹은 하나의 템플릿을 사용해 모든 기기에 대응 합니다. 적응형 웹은 선별된 기기 유형에 따라 별도의 독립적인 템플릿이 요구 됩니다.
srcset 속성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다른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높이기 위해 사용 합니다.
배포한 프로젝트를 카카오톡이나 SNS로 공유 했을 때 상대방에게 보여지는 썸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