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1 7일차 수업: 서비스 주도
서비스의 특징 & 사용자의 기대 & 맥락
(선순환)
서비스의 자율권을 주게 되면, 사용자와 서비스간에 상호작용이 생길 수 있음.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가능하게 되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맞춤화되어 이용할 수 있 > 사용자는 서비스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됨 > 충성도 높아짐
허용된/제시된 권한이 있고 여러항목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
e.g) 메뉴, 옵션, 필터 구성
개인 사용자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그 사람이 원하는 정보를 제시하는 것
e.g) 추천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진입 시 주요 메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시 접근가능한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주요 메뉴와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
→ 사용자의 관점에서 주요 메뉴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함(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것 위주로 배치, 쉽게 탐색할 수 있게 도와줌)
전체 메뉴: 사이드바, 드로우어(사이드바)
웹(상단 header 부분), 앱(하단 메뉴)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것 & 쓰임새가 있는 것 위주로 배치
e.g) 쿠팡: 햄버거 버튼에 앱에서는 라벨링이 없고 웹에서는 라벨링(카페고리)이 있음
앱을 통해 구매하는 연령대는 웹에 비해 낮은 편 -> 라벨링을 통한 접근성&인지 up
앱은 공간 부족한 경우 많고 웹에서는 공간이 넓은 편
검색 큐레이션
사용자들이 스스로 검색하게 만든다면(검색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어떤 검색어를 검색해야하는지), 고민의 시간동안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부드러운 강제성(검색하고 나면 추천 제품이 뜨는 것 등)을 부여하여 고객들의 점유율을 늘릴 수 있다.
검색 내에서 서비스 주도성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e.g) 무신사에서 검색 탭만 가더라도,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판매 랭킹 이 뜬다
맘맘: 국민템을 소개하자(포털에서 검색량, 판매량이 많은 것) → 리서치가 잘 된 케이스
상황별 큐레이션
목욕용품/외출복 등 상황별 태그를 검색하면 관련한 아이템들 추천해줌
적합한 검색 결과를 보여주어 구매전환율을 높인다.
진입 > 검색 초기 화면 > 검색어 입력 > 검색 결과 노출 화면
검색어 기준을 만든다.
검색어 알고리즘을 어떻게 만들건지, 자연어 검색이 되는지 등
검색어 처리가 잘 안되는 경우 (마켓 컬리)
'연필'을 '연팔'이라고 오타냈을 때, 검색이 잘 안되는 경우
검색어 처리가 잘 되는 경우 (네이버 쇼핑)
'연필'을 '연팔'이라고 오타를 내면, '연필'이라고 교정된 후에 검색 결과를 보여줌
쿠팡 VS 네이버쇼핑
쿠팡: 연관검색어에서 " 연필 / 볼펜 " 구분지어서 다시 한번 제시를 해줌
포털 검색 / 커머스 검색
포털의 검색 로봇들이 다양한 문서, 사이트의 header에 작성된 keyword, og태그, sementic 태그 등에 나와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결과 제시
(네이버, 다음, 구글 크롬 등)
판매자가 올려놓은 제품들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를 제시
(무신사, 쿠팡 등)
⭐️UI 디자이너와 가장 연관있음⭐️
트립닷컴
AND 검색, OR 검색 한페이지에 보여줘서 접근성 높임
상세 필터
기본 필터
앱에서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상세 필터와 기본 필터를 같이 배치하기보단 기본 필터를 먼저 선택한 후에 상세필터를 설정할 수 있게 depth를 만들어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심플한 기본 필터 > 2 depth로 상세 필터
정보의 순서를 바꾸는 정렬
필터 ≠ 정렬
필터는 그 안에서 체크를 해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나열을 해준다.
정렬은 하나의 UI로 구성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정렬을 섞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