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1 14일차 수업: UI디자인(해상도, 컬러, 타이포그래피)
화면의 최소 단위
1인치당 넣을 수 있는 픽셀의 개수 - PPI(Pixel per Inch)
인쇄의 최소 단위
1인치당 넣을 수 있는 도트의 개수 - DPI(Dot per Inch)
iOS에서 상대적으로 크기를 표시하는 단위 pt
안드로이드에서 밀도를 표현하는 단위 dp
화면의 밀도가 달라도 화면에 보여지는 이미지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dp = pixel * (density / 160)
" 컬러는 디자인에 유쾌한 느낌을 더 해주는 것이 아닙니다. 컬러는 디자인을 보강해 줍니다. "
by. Pierre Bonnard
60% 주요 색상 / 30% 보조 색상 / 10% 강조 색상 ⇒ 컬러의 균형감을 준다
어두운 베리에이션을 만들어야 한다면,
1. 명도(B, 밝기)가 감소
2. 채도(S)는 증가
3. 색상(H)은 (종종) 빨간색(R,0°), 녹색(G,120°) 및 파란색(B,240°)으로 이동
밝은 베리에이션을 만들어야 한다면,
1. 명도(B, 밝기)가 증가
2. 채도(S)는 감소
3. 색상(H)은 (종종) 청록색(C,180°), 자주색(M,300°) 및 노란색(Y,60°)으로 이동
보색으로 배색하는 이유?
: 역동적인 대비, 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음
: 부드러운 이미지, 조화로움, 일정한 이미지 유지
: 색상 간격 동일. 보색만큼 강하진 않지만 활력있는 이미지
: 보색만큼 강하진 않지만, 그만큼의 인상을 주는게 부담스러울때.
height: ascender와 descender를 뺀 높이
letter-spacing: 글자 사이 간격
leading: 행간 (윗줄과 아랫줄의 baseline간의 간격)
글자체에 따라서 변형 글꼴(thin, regular, semi bold 등)이 다양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변형 글꼴이 많은 것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료로 사용 가능한 검증된 서체 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던웹에서 본문 크기는 12~16pt 정도가 적당하며 72dpi 해상도에서 pt와 px 값은 동일한 크기를 나타낸다.
행간은 본문 서체를 기준으로 150% 정도가 적당하다.
글자 크기 지정
iOS
pt
Android
dp, sp 단위 사용
dp: density independent pixel - 밀도에 영향을 받지 않음
sp: scale independent pixel - OS 자체에서 글씨 크기 설정 가능한데
DP(Density-Independent Pixels):
UI 레이아웃을 정의할 때 레이아웃 치수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위
SP(Scale-Independent Pixels):
UI 레이아웃을 정의할 때 텍스트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