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DataType)을 이해하라
자료형의 종류 알아보기
기본 자료형
- 정수(int), 실수(float, double)...등
사용자정의 자료형
객체자료
책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변수(책제목, 저자, 가격, 출판사...등)가 필요
-> 변수들을 하나로 묶어서 책 구조를 만듦(클래스를 사용)
-> 객체자료
- 이때 여러개의 변수들 => 구성요소 = 속성 = 멤버
- class=> 새로운 자료형을 만드는 도구
- String 같은 자료형도 자바에서 미리 만들어놓은 객체 자료형(그래서 앞글자가 대문자임)
String 클래스의 동작 몇가지
- 길이 구하기
- 대소문자 바꾸기
- 부분 출력하기
컴파일러가 자료형을 찾는 방법
- 어휘, 단어 목록에서 찾는다. (기본 자료형)
- 없으면 클래스에서 찾는다. (사용자 정의 자료형)
이때 어디에 자료형(클래스)이 있는지 알려줘야 한다.
-> java.lang.String (String과 같이 자주 사용하는 클래스들은 패키지 생략 가능)
이렇게 필요한 API들을 언제든지 가져다가 내가 원하는 것들을 만들 수 있다. => 객체지향
API => 이미 만들어 놓은 사용자 정의 자료형
이 API들은 다 class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사용자정의형"
기본자료형과 문자자료형
기본자료형(PDT)의 종류 이해하기

- s => sign비트로 1비트를 차지한다.
- 부동소수점 : 유효숫자 앞으로 소수점을 옮기고, 옮긴 만큼 가수에
- 정수형의 기본타입 : int(long만큼 큰 숫자는 많이 쓰이지 않음)
- 실수형의 기본타입 : double(float보다 더 정밀)
수의 표현(진법) 이해하기

10진수(decimal)
2진수(binary)
8진수(octal)
- 표현 : 숫자 앞에 숫자 0을 붙여줌
- 2진수를 8진수로 바꾸기
: 2진수를 3자리씩 끊어서 10진수로 변환할 때처럼 weight를 더하여 표현
(2진수 세자리가 8진수 한자리)
16진수(hexa)
- 표현 : 숫자 앞에 0x를 붙여줌
- 2진수를 16진수로 바꾸기
: 2진수를 4자리씩 끊어서 10진수로 변환할 때처럼 weight를 더하여 표현
(2진수 네자리가 8진수 한자리)
문자 자료형(char)의 이해
문자자료형 => 수치자료형으로 간주

ex) '1' + '2' = 3 이 나오도록 프로그래밍 하시오.
char i = '1'; //49-48=1
char j = '2'; //50-48=2
int sum = (i-48) + (j-48);
//또는 int sum = (i-'0') + (j-'0');
system.out.println(sum);
문자'0'은 48이므로 (문자'1'은 49)
자료형과 형 변환(Casting)
- 자동형변환(묵시적) : 작은 type이 큰 type에 저장되는 경우
- 강제형변환(명시적) : 큰 type이 작은 type에 저장되는 경우 (손실발생)
(DataType)변수;
단, boolean type은 형변환이 안된다.

위의 내용은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학습한 내용입니다.
이미지 출처 : 패스트캠퍼스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