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화살처럼 지나갔다.
2주간의 위코드 부트캠프 기간을 돌아보며 어떻게 공부했는지 정리하고 재정비를 하기 위해 작성한다. 위코드에서의 첫 2주 간은 pre-course로 진행하게 된다. 여러가지를 다루지만 굵직하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볼 수 있다. 한 주는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기초를 다지는 세션(수업)을 진행하고, 나머지 한 주는 스타벅스의 몇 개의 페이지를 스스로 클론코딩 하는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사전 스터디 팀원들과는 만나자마자 헤어지고, 새로운 팀이 정해졌다. 사전 스터디 팀원이셨던 한 분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처음 만나는 분들이였다. 모두가 열정이 가득했고, 같은 목표를 공유하고 있어서인지 서로가 서로를 북돋아주면서 열심히 공부했다.
첫 주는 위코드에서 Replit이라는 플랫폼을 통해서 미리 준비한 JavaScript공부를 진행하면서 HTML과 CSS를 같이 진행했다. 부트캠프를 진행하기 이전에 HTML,CSS 그리고 JavaScript를 공부했었기 때문에 수월하게 따라갈 수 있었다. 아무 준비 없이 과정을 시작했었더라면 꽤나 멘붕이 왔을 것이라...
부트캠프 이전에 공부를 할 때는 인터넷 강의를 위주로 공부를 했다. 강사가 이론을 알려주고 코딩을 한다. 나는 그걸 보고 따라치고 작동이 잘 되는지 안 되는지 확인을 하면서 공부하는 식으로 진행했다. 거의 모든 강의에서 강조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강사 자신의 코드를 그대로 받아치기만 해서는 안된다. 꼭 복습을 하고 스스로 코드를 쳐봐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것을 실행하기가 정말 어렵다. 잘 짜여진 강의는 이론을 알려주고, 예제를 같이 공부하고 수강생에게 스스로 충분히 할 수 있을만한 과제를 준다. 전자와 같은 강의는 수업을 들어도 내가 이것을 정말 스스로 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을 하게 된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다. 대다수의 부트캠프 후기를 보면 떠먹여주지 않는 다는 것을. 그리고 처음으로 절실하게 느끼게 된 것이 첫 미니 프로젝트인 위벅스 클론 코딩이다. 팀 단위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아니다. 팀끼리 모르는 것을 공유하고 같이 학습할 수도 있지만 스스로 코딩을 해야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엄청나게 도움이 되었다. 약간의 가이드라인만 제시해주기 때문에 정말 혼자 코딩하고, 검색하며 학습해야 한다. 처음에는 조금 막막했지만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고 구현하면서 정말 몰랐던 것들을 스스로 찾아보고 학습했다. 어느 정도의 자신감도 붙게 되었다.(현재 리액트를 예습하면서 다 죽어버린 자신감...) 물론, 팀원들과 모르는 것도 공유하고 힘들었던 점도 이야기하면서 진행된다는 점이 큰 도움이 됐다.
혼자 공부할 때는 이 정도만 하면 되겠지 하고 물러선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목표가 정해져있으니 목표만큼은 꼭 구현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더라... 이 점이 나를 불타게 만들었던 것 같다. 컨디션 조절이 중요하지만 구현을 꼭 하고 싶은 마음에 4~5시간 정도 잤다. 이게 나중에 어떠한 결과로 이어지게 될 줄은 나도 잘 모르겠다. 근데 일단 재밌다. 이게 정말 중요한데 그냥 재밌다.
짧은 2주 기간이지만 팀원들과 정이 너무 들어버렸다. 물론 남은 기간도 계속 보게될 분들이지만 초반의 어려움을 함께 해서인지 아쉬움에 더욱 더 크게 느껴졌다. 2주 동안 감사했고, 또 각자의 새로운 팀으로 가서 더욱 더 열심히 하고 성과를 이루시길 바란다.
우리 소중한 새싹팀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