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웹 풀사이클 14주차 1일차

geun·2024년 2월 12일
0

데브코스

목록 보기
50/79
post-thumbnail

개발문화

국내 IT 기업의 개발문화

  • 코딩테스트 인터뷰
  • 소스 코드 리뷰 및 테스트
  • CI/CD (지속적 통합 및 배포)
  • 기술을 이해하는 팀장/매니저
  • 참여형 지식 공유 플렛폼 등

오픈소스

오픈소스란?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공개되어 있는 소스코드이다. + 리뷰, 수정등이 가능해야한다. (!= 무료)
ex) 리액트, Node.js, Apache, BootStrap등..
그렇다면 Github에 public으로 열린 모든 프로젝트가 오픈소스일까?
정답은 아니다. 라이선스를 확인해봐야 한다.

오픈소스 라이선스

오픈 소스로 배포/공개/준비된 소스 코드를 사용할 때 지켜야하는 규칙등을 명시한 것이다.
ex) React의 MIT License
오픈 소스가 아닌 소스를 임의로 사용하면 저작권 침해이므로 주의해야한다.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필요한 이유?

  • 오픈 소스임을 명시하기 위해
  • 사용/배포 조건을 지켜달라고 하기 위해

라이선스

OSI

Open Source Initiative의 약자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단체이다. 해당 사이트에서 다양한 라이선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OLIS

Opensource SW Licens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종류

  • GPL (General Public License) :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든 사용할수 있지만, 배포/사용시엔 무조건 공개
  • MIT : 라이선스 이름을 명시하기만 하면 배포/사용 가능
  • Apache : 소스 코드에 대한 공개 의무 등 의무사항이 없다.
  • BSD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 라이선스 및 저작권 표시 조건만 명시하면 사용가능하여 인기가 많다.

beerware

비어웨어는 공식적인 라이선스는 아니지만, 제약이나 조건이 매우 낮은 소프트웨어 사용권이자, 그것을 통해 배포된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
 * ----------------------------------------------------------------------------
 * "THE BEER-WARE LICENSE" (Revision 42):
 * <phk@FreeBSD.ORG> wrote this file. As long as you retain this notice you
 * can do whatever you want with this stuff. If we meet some day, and you think
 * this stuff is worth it, you can buy me a beer in return Poul-Henning Kamp
 * ----------------------------------------------------------------------------
 */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진다.

npm 라이선스

npm 사이트에서도, 해당 라이브러리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배포할 때, 해당 라이브러리에 대한 라이선스를 준수해야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