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You better cool it off before you burn it out
post-thumbnail

[NestJS] Authentication using Google OAuth (+ Session)

인증의 마지막? (마지막이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형식상 이번 포스팅을 잠정 마지막으로 하려한다...) 포스팅에서 다룰 주제는 지난 포스팅의 OAuth2.0 개념에 이어서 실제 NestJS에서 구현해보는 OAuth2.0이다.OAuth 2.0 알아보기 ✔여러 소셜 로그인

2023년 5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OAuth 2.0 알아보기

이전 포스팅, 그리고 그 이전의 포스팅에서 우린 "인증(Authentication)"과 해당 인증을 통한 "인가(Authorization)"를 알아보았고, 또한 구현해보았다.사용한 기술로는 JWT를 활용한 "Access Token", 그리고 해당 Access Token

2023년 5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Implementing 2FA using OTP (feat. QR & Google-Authenticator )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nestjs를 통한 인증 과정에 포함된다. 우린 단순 로그인 로그아웃을 넘어 조금 더 심화적 구현을 알아본다.※ 시리즈 참고NestJS \_ Authentication (advanced part) ✔위 시리즈에서 진행됩니다. 이전 포

2023년 5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보완) Remove refresh-token data in DB if token has expired (using Task-Scheduling)

시작하기에 앞서 이번 포스팅은 온전히 이전 포스팅 "How to implement Refresh-Token using JWT"을 전제로 이어나간다. (아래 링크 참조) 이전 포스팅 (How to implement Refresh-Token using JWT) ✔

2023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How to implement Refresh-Token using JWT?

오랜만에 작성하는 포스팅인 것 같다. 최근에 개인적인 일도 있고, 뭔가 쉬어가고 싶어서 천천히 공부를 하며 어떤 주제를 다뤄보며 좋을까 고민을 했었다. 그러던 와중, 예전부터 들어만보았지, 한 번도 다뤄본적이 없었던 "Refresh-Token"에 대해 NestJS로 구

2023년 5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Request-Timeout handling with Interceptor & RxJS

공부 중인 나로써는 대용량 데이터및 대규모 트래픽을 경험해보기 쉽지않다. 엇비슷하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조회하는 요청을 경험해보고자 일전에 "50000"건의 데이터를 더미데이터로 생성함으로써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는 과정을 수행해보았었다. 그 당시엔 페이지네이션을 통해

2023년 4월 11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Permission-Based Guard with Caching (advanced-part #2)

이전 포스팅 "Permissioin-Based Guard"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캐싱을 적용해보도록 한다. 왜 이번 포스팅의 과정을 수행하는지는 이전 포스팅 마지막에 언급하였다. 그럼 긴 글을 시작해보도록 하겠다.이전 포스팅 클릭 ✔최근, 정확한 "계기"가 있는 것은

2023년 4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Permission-Based Guard with Caching (advanced-part #1)

이번 포스팅은 "NestJS에서 권한 부여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해보고자한다. "캐싱"에 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진행합니다!일전에 NestJS에 대해 뭣도? 모르던 때에 RolesGuard에 대해 다룬적이 있었다. 당시에 공식문서를 보고 해

2023년 4월 2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File-upload & Use of Interceptor (feat. nest를 바라보는 시각..)

이번 포스팅에선 "nest에서 이미지(혹은 파일)를 업로드 시키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하며, 구현하는데 있어 부딪히게 되었던 몇가지 상황들을 함께 언급해보고 코드를 개선해보고자 한다.기록용으로나, 정보 공유용으로나 의미있지 않을까 싶어 간단히 작성해보고자

2023년 3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 Typeorm] ManyToMany 관계 개선 #3 (feat. String Unique Key를 통한 코드 개선 )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 \_\*\*"ManyToMany 관계 개선\[이전 포스팅 클릭 \[이전 포스팅 클릭이전 포스팅에서 우린 Role과 Permission의 "ManyToMany" 관계를 @ManyToMany없이 중간 테이블(엔터티)을 직접 두어 구현하였다. 또한

2023년 3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 Typeorm] ManyToMany 관계 개선 #2 (feat. @ManyToMany없이 "다대다" 구현하기 )

먼저,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 \*\*\_"ManyToMany 관계 개선이전 포스팅 클릭 ✔꼭 이전 포스팅 글을 보고 이번 글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이해하기에 매끄럽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선 이전에 다루었던 @ManyToMany 를 이용한 Role과 Permiss

2023년 3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 Typeorm] ManyToMany 관계 개선 #1 (feat. @ManyToMany를 사용할 경우)

역할(Role)과 권한(Permission)의 관계를 '다대다(ManyToMany)' 로 join함으로써 일어났던 문제와 그에대한 개선을 중심으로 작성해보고자 한다. 릴레이션 관계가 없는 경우, 다대일의 경우, 일대다의 경우와는 다르게 "다대다(N:M)"의 경우에서 생

2023년 3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Cursor-Based-Pagination에 다가가기 #2 (feat. 유니크키가 아닌 컬럼을 커서로 둔다면 ?)

이전 포스팅 💨 여기 클릭!!! "Cursor-Based-Pagination에 다가가기" 중 두 번째 파트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린 "커서 기반의 페이지네이션"은 무엇이고, 오프셋 기반의 페이지네이션과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에 대해

2023년 2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Cursor-Based-Pagination에 다가가기 #1 (feat. 커서 기반 페이징의 특징과 Nest에서 구현해보기)

시작하기에 앞서 지난번에 "Typeorm을 통해 nest에서 페이지네이션을 어떻게 구현하는가"에 관해 글을 작성해보았다. (해당 글 아래 링크 참조) Pagination with offset-based (벨로그 포스팅) 위 글에서 소개한 페이지네이션은 엄밀히 말하

2023년 2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QueryBuilder vs Find Opertor (Feat. pagination | searching | seeder) #1

시작하기에 앞서 이전 포스팅에서 Typeorm의 "Find Operator(find, findOne, findAndCount ...)"를 사용하여 Nest에서 Pagination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전 포스팅 참고 -- [Nest]

2023년 2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nestJS-seeder [더미데이터 생성하기, feet. faker-js]

해당 포스팅의 내용은 기존에 작성하고 있는 중인 포스팅인 "TypeORM의 QueryBuilder vs FindOperator with Pagination | Searching | Sorting"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일련의 이유로 인해 따로 분리해서 기록으로 남기자고

2023년 2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Pagination with TypeORM (feat. Refactoring)

"페이지네이션(Pagination)" 이란 개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흔히 페이지 수(쪽 수)를 매기고 정렬할때 쓰이는 개념으로써 우리가 웹 혹은 앱에서 자주 다루게 된다.개발 초보인 나로써는 "페이지네이션"을 오로지 프론트 단에서만 필요한 개념이라 생각했다.

2023년 2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에서 응답객체에 어떻게 접근할까? (feat. Interceptor)

간만에 글을 쓰게 되었다. 이번 글은 지식 전달의 목적이라기보단 nestJS를 통해 특정 기능을 구현하던 중 부딪히게 되었던 에러와 그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 그리고 그때 느꼈던 "nest"란 프레임워크를 어떻게 잘 다룰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하는 글이 될

2023년 1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stJS] Execution context __docs(번역)

NestJS를 학습하며 "가드(Guard)"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Execution context(실행 컨텍스트)" 라는 키워드를 통해 특정 라우터에 원하는 가드를 적용시켜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내가 아는 "실행 컨텍스트(Execution context)"는

2022년 12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영상 처리 6주차 - 빛 밝기 개선 문제점 해결

지난 5주차때까지 밝기 개선 작업을 수행해보았다. "Histogram Equalization", "Histogram Stretching"을 주 연산으로써 영상 이미지의 밝기 개선을 진행해보았으나 어두운 이미지를 밝게 하는 것엔 만족스럽게 적용이 되었지만 빛 번짐이나 극

2022년 11월 2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