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Entity란..?
HTTP 응답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클래스
클라이언트에게 컨트롤러에서 응답을 반환하는데 사용됨
특징
1. HTTP 응답 상태 코드(200 OK, 404 NOT FOUND 등) 및 응답 헤더를 설정 가능
2. 응답 본문 설정(String, 객체)을 JSON, XML, HTML
또는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반환이 가능
3. 제너릭 타입 ResponseEntity<>을 통해 명시적으로
데이터 유형을 지정할 수 있음
4. ResponseEntity를 통해 RESTful한 웹 서비스 및 API 엔드포인트 개발
@RestController
public class MyController {
@GetMapping("/api/data")
public ResponseEntity<MyData> getData() {
MyData data = new MyData("Hello, World!");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add("Custom-Header", "Header-Value");
return new ResponseEntity<>(data, headers, HttpStatus.OK);
}
}
주로 서버사이드 렌더링에서는 Ajax나 api 엔드포인트 작성할때 많이 사용될 것 같다.
사용사례는 추후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