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
일반적인 API는 반환하는 리소스에 Value 값만 있지 않습니다. 상태코드, 상태 메시지 등등 데이터들이 있는데 이러한 Data를 return 하는 것을 주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ResponseEntity입니다. ResponseEntity란, httpentity를 상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란, httpentity를 상속받는, 결과 데이터와 HTTP 상태 코드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클래스이다.Re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받고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가 포함된 클래스이기 때문에 HttpStatus, HttpHe

[SpringBoot] ResponseEntity란?
HTTP 응답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클래스 클라이언트에게 컨트롤러에서 응답을 반환하는데 사용됨 특징 HTTP 응답 상태 코드(200 OK, 404 NOT FOUND 등) 및 응답 헤더를 설정 가능 2.

2023.07.24
MainControllerApiV1@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 value = "/api/v1/main")에서 get전용으로 만든게 @GetMapping @GetMapping("/api/v1/main")공통된 "/api/
Controller Exception Handler
사용 계기 service logic은 당연히 service단에 있고 service 단에서 exception 처리와 log를 찍는다. 근데 뭔가 킹받는 부분이 있었다. 이건 내가 전에 만든 controller method중 일부인데 문제는 바로 ms.findByI

23/05/08(Spring+TodoList)
Validation(유효성 검증) : 올바르지 않은 데이터를 걸러내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검증은 여러 계층에 걸쳐서 적용된다. Client 데이터는 조작이 쉬울 뿐더러 모든 데이터가 정상적인 방식으로 들어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Server에서 데이터 유효

HTTP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 클래스는 HTTP 응답(Response)을 나타내는 객체로, 반환된 HTTP 상태코드와 헤더, 응답 본문 등을 포함한다.ResponseEntity는 밑의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HttpEntity를 상속받았기 때문이다.바로 위의 사진은 HTT
HTTP 요청 조회 - 응답
HTML, CSS, JS스프링 부트는 클래스패스의 다음 경로에 있는 정적 리소스들을 제공한다.기본 시작 경로: src/main/resources/static, /public, /resources, /META-INF/resourcessrc/main/resources/st
[SpringBoot] ResponseEntity.created()
ResponseEntity로 상태코드를 지정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created()말고도 HttpStatus 또는 statuscode를 직접 변수로 넣는 status()도 있다.ok()는 상태코드 200으로 설정한다. 매개변수를 같이 주면 이는 body에 담기게 된다.

스프링 부트, 입문! 19
RestController 와 HTTP 오늘은 ResController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CRUD처리를 배워볼 것이다. RestController란 서버와 DB의 데이터 이동을 위해 만들어진 Controller로 일반 Controller는 뷰페이지와 연결이 되지만, RestController는 JSON(데이터)을 반환하는 RestAPI Controll...

[웹 스터디]컨트롤러 레이어 : 스프링 REST API 컨트롤러
REST API를 구현하므로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이 컨트롤러가 RestController임을 명시한다. @RestController를 이용하면 http 관련된 코드 및 요청/응답 매핑을 스프링이 알아서 해준다.GetMapping 어노테이션을
스프링 부트 Controller 애너테이션 정리
@SpringBootApplication 은 코드 상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내부적으로 세가지 일을 해준다.자동 구성을 활성화.애플리케이션 패키지 내에서 @Component애너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검색한 후(scan), Spring Bean으로 등록한다.@Configur
ResponseEntity
(1) 클래스 레벨의 @RequestMapping 의 ‘produces’ 애트리뷰트가 사라졌다. (2) JSON 문자열을 개발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작성하던 부분이 Map 객체로 대체되었다.이를 통해 클래스 레벨의 @RequestMapping 의 ‘produces’ 애트
Chapter16 ResponseEntity, RESTful사용 이유, 규약, 구조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 HttpEntity라는 클래스가 존재한다.이것은 HTTP 요청(Request) 또는 응답(Response)에 해당하는 HttpHeader와 HttpBody를 포함하는 클래스다.그러므로 ResponseEntity에서는
Chapter16 JSON 응답과 요청 처리
JSON은 간단한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데이터 교환에 주로 사용한다.JSON은 중괄호를 사용해서 객체를 표현한다.객체는 (이름, 값) 쌍을 갖는다.이때 이름과 값은 콜론(:)으로 구분한다.Jackson은 자바 객체와 JSON 형식 문자열 간 변환을 처리하는 라이브러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