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사회에 가장 결여되거 있거나 문제되 있는 것이 뭐냐 해보니
20대가 외로움 때문에 자살한다는 것이다.
기대가 있는 나이, 스무 살.
좋아하는 사람에게 고백해서 차여보기도 하고
고백했다가 마음이 바껴 하루만에 헤어지자고 할 수도 있는 때
라떼는 대학생 때 모솔이라고 하면 루저 취급을 받을 정도로 레어했는데
요즘에 내 주변 20살들 한테 물어보면 모솔이 흔하다.
친밀성은 20년 전 영미권에서는 남녀간의 내밀한 관계를 가리키는 용어로 정의되었지만, 현재는 사랑, 우정, 관계성까지 확장되었다.
사촌간에도 남이 된 사회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로움이 심해져 영국에는 외로움 장관도 생겼다고 한다. 외로움의 원인은 디지털 세계의 새로운 기능과 부모의 양육 방식의 변화로 인해 발생했다.
친밀성의 정의 뿐만 아니라 친밀성을 드러내는 방식과 과정도 변화하였으므로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는 의사와 감정을 명시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훈련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언어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친밀성은 실제 친밀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전체적인 욕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데,
예전에는 친한 사람이라면 가족과 친구를 알아야 했지만
현재는 그런 수준의 친밀성을 갖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친밀성이 형성된다.
앤써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친밀성을 매 순간 서로 조율하고 합의하고 대화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친밀성을 생산하려면 상호 간에 깊은 대화를 통해 다양하고 재미있는 활동을 함께 해야 하며, 취향과 취미를 개발하여 상호간의 불일치를 해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는 친밀성 접속의 시대이며,
한 사람만 영원히 사랑할 수 있는 이상적인 관계보다는
우연히 조합이 잘 맞아 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친밀성의 정의와 함께 친밀성 상실의 시대에 대해 인식해야 한다.
앞으로의 방향성은
다른 것을 환대하는 것,
핵심은 에로스 효과를 확장시키는 것.
출처: 월말김어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