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과 구현을 분리한다.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역할 : 인터페이스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를 만들기구현 객체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좋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설계 > - 회원 > - 회원을 가입하고 조회할 수 있다. > - 회원은 일반과 VIP 두 가지 등급이 있다. > - 회원 데이터는 자체 DB를 구축할 수 있고, 외부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 - 주문과 할인 정책 > - 회원은 상품을
이 정률 할인 정책이 잘 적용이 되는지를 테스트하기주석으로 처리된 부분은 정액 할인 정책, 그 아래 코드는 정률 할인 정책이다.할인 정책을 변경하면 클라이언트인 OrderServiceImpl 코드를 수정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AppConfig는 애플리케이션 실제 동작
이전에 만들었던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을 담당하는 설정 클래스인 AppConfig 클래스를 기반으로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든다.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고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호출하면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실행 결과스프링이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AppConfig는 요청을 할 때마다 새롭게 생성을 한다.이렇게 되면 메모리 낭비가 심하므로 해당 객체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 등을 통해서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또한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라는
✔️생성자 주입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이다.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생성자가 딱 1개만 있다면 @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 주입이 된다. 이는 스프링 빈에만 해당한다.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수정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스프링 빈의 라이프 사이클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스프링이 지원하는 스코프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웹 관련 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