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을 야무딱지게 이용하기 위해서 HTTP Method를 알면 좋을 것 같다.GET 리소스 조회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가 있으면 query를 담아 보낸다.서버에서 GET요청의 메시지 body를 확인하지 않고, body에 데이터가 있더라도 처리가 안 될 확률이
Curl의 명령어는 Curl Package를 설치 후 사용이 가능하므로 설치 후 작업을 하여야 한다.Curl은 URL을 대상으로 동작한다.GET 요청아무 옵션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기본 GET으로 동작기본 HTTP 프로토콜로 설정되어있다POST 요청\-d 옵션으로 bo
PC나 서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토리지연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속도는 빠르지만 확장성과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서버와 저장장치가 이더넷등의 TCP/IP기반의 LAN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스토리지여러명이 스토리지에 접근해야할 경우 사용 // 파
tail아랫부분의 로그를 출력해주는 명령어tail의 명령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사용 목적은 어떤 행위를 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로그를 보기 위함이다.사용법주로 사용되는 option\-f : 파일을 종료하지 않고 파일의 업데이트 내용 실시간 출력\-n : 파일의 마지막 줄
문법optiontar 압축tar 압축 풀기tar.gz로 압축하기tar.gz 압축 풀기
앞에서 파일 소유권과 허가권에 대해 알아 보았다.위 명령어를 치면 디렉토리나 파일의 권한에 대한 정보에서 가장 앞에 오는 권한에 대해 알아 보았다.권한에 나타나는 가장 앞자리에서는 특수권한이 붙는다.사용자의 권한이 있어야지만 실행이 가능한 경우 해당 권한을 일시적으
읽기권한, 쓰기권한, 실행권한Windows의 예시예로 윈도우에 아무 폴더를 우클릭 한 뒤 보안 탭으로 들어가보면 권한 설정에 파일 쓰기 읽기 실행 권한을 줄 수 있는데 윈도우에서 이러한 권한 설정이 리눅스에서는 chmod에서 변경한다.해당 파일의 소유자라는 소리인데
명령의 출력을 변경 하고 리디렉션을 통해 파일에 기록 가능하다.기본 사용</<< : 입력 방향 재지정\>/>> : 출력 방향 재지정\> : 덮어씀\>> : 추가무슨 소린지 모르겠으니 예시를 보고 생각하면 편할듯 합니다.출력 리디렉션ls -al한 결과를
디스크 공간을 분할한다는 의미로 디스크공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영체제 설치가 가능한 파티션파티션 생성 시 MBR(Master Boot Record) Partition Table(16Byte) 소모최대 4개까지 생성
cp(copy)복사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사용 법\-i복사될 파일이 이름이 이미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게 덮어 쓰기 여부를 묻는다.\-b복사될 파일이 이름이 이미 존재할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한다.\-f복사될 파일이 이름이 이미 존재 할 경우, 강제로 덮어쓰기\-r하위
top(table of processes)리눅스 시스템 운용상황을 실시간을 모니터링하거나 프로세스가 관리 가능한 유틸무슨 소리냐 하면 cpu 나 memroy, 실행중인 프로세스 정보등을 나타내준다라고 보면 된다.그래서 옵션을 사용하여 top을 이용한다.파일의 내용에서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할때 사용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command만 넣었다.추가적인 옵션에 대한 값은 따로 확인 하면 될것같다.프로세스 확인 명령어ps의 옵션이 많기 때문에 많은 옵션을 확인하려면 검색해서 알아보시길단순 ps를 입력하면 돌아가는 프로세스가 준내
파일시스템 디스크 공간 확인option\-a : 모든 파일시스템 출력\-h : 보기 편한 용량 크기로 출력(1K, 10M, 1.0G) / 주로 사용\-i : i-node의 남은 용량 확인\-i-node :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가진 데이터, 파일을 빠르게 찾기 위한
|단축키|설명| |:----:|:----:| Alt + 1~9 | 숫자에 해당하는 세션 탭으로 이동 Alt + C | 현재 연결된 세션 종료 Alt + Enter, Shift + Alt + Enter | 전체 화면 모드로 전환 Alt + M | 세션 관리 창으로 이동 Alt + N | 새 세션 생성 화면 팝업 Alt + O | 설정 파일에 저장된 세션 리스...
텍스트 변경 명령어가 있긴 있는데 사용해본적이 없음
Command | 설명 :----:|:----:| h|왼쪽으로 커서 이동 j|아래로 커서 이동 k|위로 커서 이동 l|오른쪽으로 커서 이동 e|오른쪽 한 단어의 끝 부분으로 커서 이동 w|오른쪽 한 단어의 앞 부분으로 커서 이동 b|왼쪽 한 단어의 앞 부분으로 커서 이
SED(Stream Editor)원본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는 명령어SED는 홀드 버퍼와 패턴 버퍼를 이용하여 홀드 버퍼에는 데이터의 원본을, 패턴 버퍼에는 조건에 맞는 내용이 저장된다.VI Editor와의 차이편집기를 직접 열어 고치지 않고 커맨드창에서 원하는 부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