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 free, route

배병진·2023년 5월 3일
2

Linux

목록 보기
13/17

df

  • 파일시스템 디스크 공간 확인

[option]

-a : 모든 파일시스템 출력
-h : 보기 편한 용량 크기로 출력(1K, 10M, 1.0G) / 주로 사용
-i : i-node의 남은 용량 확인
-i-node :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가진 데이터, 파일을 빠르게 찾기 위한 데이터

free

  • 메모리 상태/용량 확인

free의 명령어 실행 시 /proc/meminfo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보여준다.

[option]

-h : 보기 편한 단위로 출력 / 주로 사용

[결과값]

total : 설치된 총 메모리 크기
used : total에서 buff/cache를 뺀 사용중인 메모리 / 사용중인 스왑 크기
free : buff/cache를 뺀 실제 사용 가능한 여유 있는 메모리
shared : 여러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유 메모리
buff/cache : 버퍼와 캐시를 더한 사용중인 메모리
available : Swapping없이 새로운 프로세스에 할당 가능한 메모리

SWAP

  • 메모리 공간 부족 시 메모리처럼 사용하기 위해 설정해둔 공간

du

  • 특정 디렉토리, 파일 단위별 확인

[option]

-a : 모든 파일의 정보를 출력
-c :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 정보와 합계 출력
-h : 보기 편한 단위로 출력
-s : 지정된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합친 전체 용량을 출력

[사용법]

# du -option [디렉토리 경로]

ex) du -sh /var/lib

상태 확인

# systemctl status [service]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service]

라우팅 테이블 확인

# route -n

route 명령어 사용 시 /sbin/route의 정보를 가지고 보여준다.

디폴트 라우팅 추가

# route add default gw [게이트웨이 ip 정보]

디폴트 라우팅 제거

# route del default gw [게이트웨이 ip 정보]

네트워크 경로 추가

# route add -net [네트워크 대역] netmak [netmask] gw[게이트웨이 ip 정보]

호스트 경로 추가

# route add -host [호스트 ip] gw [게이트웨이 ip] dev [인터페이스 정보]

호스트 경로 삭제

# route del -host [호스트 ip] gw [게이트웨이 ip] dev [인터페이스 정보]

위에 설명한 command 에서 [ ]의 정보는 route -n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profile
history and stud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