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영체제 설치가 가능한 파티션
파티션 생성 시 MBR(Master Boot Record) Partition Table(16Byte) 소모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
실제 데이터 저장 불가능, 부족한 테이블 파티션 영역 확장 용도로 사용
마운트 불가능, 논리 영역을 담는 역할
1개만 생성 가능, MBR(Master Boot Record) Partition Table(16Byte) 소모
확장 영역이 갖는 범위 안에서 생성되는 파티션
실제 데이터 저장 가능, 운영체제 설치는 불가능
제한 없이 생성 가능
/ (root partition, 주 파티션)
- 핵심 시스템 파일이 저장되고, 다른 파일시스템과 분리해 놓아야 함
/boot (주 파티션)
- 리눅스 커널 이미지, 맵, 파일 저장
- boot 파티션이 작아지면 컴퓨터가 탐색해야될 부분이 작아져 부팅이 빨라진다.
/var (논리 파티션)
Spool 디렉토리와 Log 파일을 저장, 마찬가지 로그파일은 준내 중요하기 때문에 따로 분리 해놓아야 함
/tmp (논리 파티션)
- 임시파일 저장하는 곳
- user가 tmp에 들어가 root권한을 획득할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 되어 따로 파티션을 나눠줘야 한다.
/home (논리 파티션)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위한 파티션으로 사용자를 구분하여 적절한 용량으로 구분
SWAP (주 파티션)
- 가상 메모리를 저장. 보통 RAM 크기의 2배로 사용
- 시스템이 처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RAM이 충분하지 않을 때 스왑 파티션에 자료가 기록된다.
/dev/hdx
x에는 a~z까지 들어감
/dev/sdx
x에는 a~z까지 들어감
[문법]
# fdisk [옵션] [디스크]
[옵션]
# fdisk -l
모든 디스크와 파티션의 정보를 확인 가능
# fdisk -n
파티션 추가
# fdisk - d
파티션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