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인이 필요한 이유 현재 테이블이 users products orders (사용자, 상품, 주문)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 여기서 최근 주문현황의 고객 이름과 상품명을 포함해서 보고서로 만들어달라는 요구사항이 생김 주문현황이기 때문에 orders 테이블을 조회했
✅ 서브쿼리 하나의 SQL 쿼리 문 안에 포함된 또 다른 SELECT 쿼리 를 의미 메인쿼리 : 최종적으로 결과를 보여주는 쿼리 서브쿼리 : 메인쿼리 안에서 필요한 값을 먼저 계산·조회해 주는 쿼리 왜 서브쿼리를 사용할까? 예시를 보자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들
이전에 정리한 JOIN 과 서브쿼리 의 공통점은 기존 테이블의 정보를 조합하거나 필터링해서원하는 형태의 하나의 결과 집합으로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JOIN 은 테이블을 옆으로 이어붙여서 더 많은 정보들의 컬럼들을 만드는 기술이면 이번에 정리할 UNION 은 여러개의 결
✅ CASE데이터 자체를 동적으로 가공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IF ELSE THEN 처럼, 특정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출력하게 하는 SQL의 강력한 조건부 로직원본 데이터는 건드리지 않고,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새로운 값을 동적으로 생성WHEN 조건들 중에서 어느것도
💡 View 를 왜사용할까?다른 부서에서 많이 사용하는 유용한 긴 쿼리가 있는데,이 복잡한 쿼리 자체를데이터베이스에 하나의 '바로가기' 처럼 저장해두고, 필요할때마다 간단한 이름으로 호출하는 방법왜 이렇게 사용할까?쿼리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 쿼리를 매번 정확하게
인덱스 가 왜 필요할까? 데이터 양이 수십만개, 수백만개로 많아진 상태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면 서비스의 속도가 느려진다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서 특정 데이터를 찾는 과정은 100만 페이지짜리의 거대한 책에서, 특정 단어 하나를 찾기위해 책의 첫페이지부터 마지막 페이지
앞서 하나의 컬럼으로 구성된 단일 인덱스 에 대해서 정리했다 이번에는 여러 조건을 조합하여 쿼리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다중 컬럼 인덱스 다른 말로 복합 인덱스 를 정리하겠다 ✅ 다중컬럼 인덱스 : 두 개 이상의 컬럼을 묶어서 하나의 인덱스로 만드는 것 다중컬럼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