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럭이란 논리상태 H(high, 논리 1)와 L(low, 논리 0)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방형파(square wave) 신호 방형파: 장방형(직사각형)모양의 파 많은 경우 전자공학의 디지털 회로에서 클럭 신호에 맞추어 신호의 처리를 하는 동기처를 위해 사용한다.
컴퓨터의 두뇌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산술논리연산장치(ALU: Arithmetic Logic Unit)계산기. 컴퓨터 내부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계산을 도맡아 시행한다.레지스터(register)CPU 내부의 작은 임
CPU가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에는 어떤 정해진 흐름이 있고, CPU는 그 흐름을 반복하여 명령어들을 처리해나간다.이렇게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정형화된 흐름을 명령어 사이클이라고 한다.즉, 명령어를 꺼내와 실행하기 위한 연속적인 동작 과정.CPU는 정해진 흐
산술 논리 장치(ALU, arithmetic and logical unit) 덧셈, 뺄셈 같은 두 숫자의 산술연산과 배타적 논리합, 논리곱, 논리합 같은 논리연산을 계산하는 디지털 회로. 산술 논리 장치는 컴퓨터 중앙처리장치의 기본 설계 블록이다. 역사: 폰 노이만의
제어장치 제어장치(control unit, CU) 프로세서의 조작을 지시하는 컴퓨터 중앙 처리장치(CPU)의 한 부품 입출력 장치 간 통신 및 조율을 제어 명령어들을 읽고 해석하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퀀스를 결정 타이밍과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다른
레지스터 프로그램 속 명령어와 데이터는 실행 전 후로 반드시 레지스터에 저장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만 잘 관찰해도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CPU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어떤 명령어가 어떻게 수행되는지 알 수 있다. CPU안에는 다양
인터럽트 인터럽트(interrupt) 인터럽트(interrupt, 방해하다:중단시키다) CPU가 수행 중인 작업은 방해를 받아 잠시 중단될 수 있는데, 이렇게 CPU의 작업을 방해하는 신호를 인터럽트라고 한다. 더 급한일이 있어 일시적으로
CPU 성능 향상기법 CPU 성능 향상 기법 클럭 속도 증가 코어 수 늘리기 (듀얼 코어, 멀티 코어, ...) 스레드 수 늘리기 (멀티스레드...) 빠른 CPU를 만들기 위해 위의 조건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CPU가 놀지 않고 시간을 알뜰하게
명령어 파이프라이닝과 슈퍼스칼라 기법을 실제로 CPU에 적용하려면 명령어가 파이프라이닝에 최적화되어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해 CPU가 파이프라이닝과 슈퍼스칼라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CPU가 인출하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명령어가 파이프라이닝 하기 쉽게 생겨야 한다.
가산기(adder)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회로. 디지털 회로, 조합회로의 하나산술논리장치뿐만 아니라 주소값, 테이블 색인 등을 더하는 프로세서의 한 부분으로 사용된다.대부분의 가산기는 2진수의 합을 계산한다.2의 보수나 1의 보수를 이용하여 음수를 표현하는 경우 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