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개발공부하는 주니어
post-thumbnail

terraform - cloudwatch 와 auto scaling

이전에 했던 CloudWatch와 autoscaling을 이용한 scale-out시에 알람이 울리고 sns를 이용해서 람다에 트리거를 부여해서 Discord Message를 남기는 실습이다.이외에 사용할 VPC나 서브넷 라우트 테이블 보안그룹을 따로 작성해줘야한다.오토

약 11시간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loudWatch를 이용한 알림 서비스

특징 메트릭이 임계치를 넣을 때, 수평 확장이 자동으로 진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Auto Scaling Group (ASG)의 원리를 파악하고 주요 메트릭의 임계치 달성 시점을 경보 형태로 제공해야 함이를 SNS 및 람다를 통해 구현한다.EC2 서버를 ASG를 통해

약 24시간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모니터링에서 “메트릭(metric)”은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항목을 의미합니다. 메트릭은 서비스의 성능, 가용성, 사용량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시스템의 건강 상태나 문제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어제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ection3 회고

처음에 작성한 다이어그램 프로젝트후 추가 시나리오를 합친 최종으로 작성한 다이어그램 IaC의 필요성 DLQ와 SQS를 이어주는 방향을 착각해서 DLQ에서 SQS를 지정해서 설계한 인프라 구성에서 에러를 발생시켰다. 또한, SQS부분을 serverless cli로 구

3일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rraform을 이용한 프로젝트

scret.tfvars로 파일이름을 작성하면 terraform 명령어를 사용할 때 마다 \-var-file=scret.tfvars 옵션을 붙여줘야하지만 .auto를 중간에 넣으면 자동으로 모든 명령어에 scret.auto.tfvars파일이 사용된다.lambda함수 구현

3일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서버리스, 람다, SQS를 이용한 프로젝트3

AWS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느슨하게 연결된 (loosely coupled)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Factory-API 문서Factory-API DocumentMethodPOSTPath/api/manufacturesRequest Body Schem

7일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서버리스, 람다, SQS를 이용한 프로젝트2

AWS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느슨하게 연결된 (loosely coupled)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메시지 큐의 Pub/Sub 패턴과 Producer/Consumer 패턴의 차이를 이해한다DB와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특정 상황에서 SNS

2023년 5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서버리스, 람다, SQS를 이용한 프로젝트

AWS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느슨하게 연결된 (loosely coupled)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Serverless 를 이용한 메시지 대기열 활용 이해 및 구현요구사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인프라 구현문제사항 해결을 위한 추가 리소스 생성 ->

2023년 5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 kubernetes

Kubernetes에서 활동성 프로브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애플리케이션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veness 프로브는 주기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확인하고 실패하면 Kubernetes가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HT

2023년 5월 22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rnetes - 볼륨과 스테이트풀셋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파드는 일시적이며, 언제나 삭제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합니다. 따라서, 파드 그 자체는 Stateless 합니다. 이러한 파드의 교체와 배치를 담당하는 것이 디플로이먼트입니다. 디플로이먼트는 레플리카셋을 통해 파드를 scale out하며, 이때

2023년 5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rnetes - 롤아웃, 롤백

이 단계에서는 파드를 수동으로 만들어볼 것입니다.하지만 보통 파드는 하나하나 만들지 않으므로, "이렇게 만들 수도 있다"라는 것을 간단하게 배우고 넘어가는 정도의 의미를 갖습니다.sebcontents/cozserver:1.0 이미지를 바탕으로 파드를 만들어봅시다.🏁 

2023년 5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 발표과제 정리

Kubernetes 배포에는 블루/그린 또는 카나리아 배포에 대한 기본 제공 지원이 없지만 다양한 기술과 Kubernetes 기능을 사용하여 이러한 배포 전략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Kubernetes에서 블루/그린 및 카나리아 배포를 구현하는 몇 가지 접근 방

2023년 5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rnetes - 작동원리

쿠버네티스 아키텍처는 이렇게 생겼습니다.클러스터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제어판(Control Plane) 컴포넌트와, 이것과 연결된 몇개의 워커 노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워커 노드는 kubelet이라는 프로세스가 돌아가고 있는데, 이 kublet은 다른 노드와 서로 통신하

2023년 5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rraform을 이용한 인프라 구축

https://velog.velcdn.com/images/junnn0021/post/bc79a9df-bdde-401b-aeb9-75b4a134bff3/image.pngmain.tf 파일을 만들고 terraform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작성했다.vpc.tf 파일을

2023년 5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 Lambda를 통한 이메일 보내기 (feat: SQS, SNS)

https://velog.velcdn.com/images/sororiri/post/4b5d582d-3421-4482-9dfb-dab10b83b49d/image.png이전 실습 (썸네일로 변환하기) 의 연장선입니다.만들었던 이전 실습(썸네일로 변환하기) 에 다음

2023년 5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Iac - Infrastructure as Code (코드형 인프라)

여러분이 다음과 같은 인프라를 구성해야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여러분은 이 그림에서 요구하는 각각의 리소스를 만들고, 연결하는 과정을 AWS 콘솔을 통해 진행할 것입니다. 그런데 AWS 콘솔을 이용해 인프라 구성을 진행하는 것이 항상 좋은 일일까요?https:

2023년 5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서버리스 - 썸네일로 변환하기

https://velog.velcdn.com/images/sororiri/post/29d30afd-d47b-4a28-a752-9b0add91ec7a/image.png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썸네일용 이미지로 변환하여 새로운 버킷에 저장하기총 두개의 버킷을 생성한다

2023년 5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AM 을 활용한 Lambda 배포 실습 (feat: DynamoDB)

참고 자료https://serverlessland.com/patterns/lambda-dynamodbhttps://ihp001.tistory.com/216https://velog.velcdn.com/images/sororiri/post/938

2023년 5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PI 게이트웨이에 제한 추가하기

이전 실습 의 연장선입니다.API 게이트웨이에 제한을 걸어서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람다의 게이트웨이에 접속한다.https://velog.velcdn.com/images/sororiri/post/e1d05e64-82d7-4e

2023년 5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PI Gateway

레퍼런스 API Gateway 서비스 API Gateway란 규모에 상관없이 API 생성, 유지 관리, 모니터링과 보호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말 그대로 Client에서 server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많은 api들의 대문(게이트웨이)과 같은 역할을

2023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