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
의 코드가 실행하기 위해,
→ 이때, 연산자 좌우에 있는 피연산자(10, 20)을 기억해야 함
❗️ 컴퓨터는 CPU를 사용하여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 기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으로, 값이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로 치환되어 실행됨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
카멜 케이스: var firstName;
스네이크 케이스: var first_name;
파스칼 케이스: var FirstName;
헝가리언 케이스: var strFirstName; // type+identifier
⇒ JS에서 변수나 함수의 이름에서는 카멜 케이스 사용하고, 생성자 함수나 클래스 이름에는 파스칼 케이스 사용
변수를 생성하는 것,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변수 이름과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연결해서 값을 저장할 수 있게 준비
⇒ 변수 선언에 의해 확보된 메모리 공간은 해제되기 전까지 누구도 사용 할 수 없음
키워드(keyword): JS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수행할 동작을 규정한 일종의 명령어
→ JS 엔진이 키워드를 만나면 자신이 수행해야 할 약속된 동작 수행
🔥 var vs let vs const
var: 재할당 O, 재선언 O
→ 함수 레벨 스코프 지원 O, 블록 레벨 스코프 지원 X
→ var의 단점으로 인해 let, const 도입
let: 재할당 O, 재선언 X
const: 재할당 X, 재선언 X
함수 레벨 스코프(Function-level Scope): 함수 내에서 선언된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유효하며 함수 외부에서는 참조할 수 없음
→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변수이며, 함수 외부에 선언된 변수는 모두 전역 변수임, 즉 for문 변수 선언문에서 선언한 변수를 for문 코드 블록 외부에서 참조 가능
블록 레벨 스코프(Block-level Scope): 모든 코드 블록(함수, if문, for문, while문, try/catch 문 등)내에서 선언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만 유효하며 코드 블록 외부에서는 참조 불가능
var score; // 변수 선언
undefined
라는 값이 암묵적으로 할당되어 초기화됨❓ 변수 이름이 등록되는 곳
모든 식별자는 ”실행 컨텍스트”에 등록됨
실행 컨텍스트: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소스코드를 평가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를 실제로 관리하는 영역 → 식별자와 스코프 관리
변수 선언문이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의 고유의 특징
console.log(score); // undefined
var score; // 변수 선언문
위의 코드와 같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가 변수 선언문 앞에 존재해도 참조 에러(ReferenceError) 발생 안하고, undefined가 출력됨
→ 변수 선언이 런타임(소스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는 시점)이 아닌, 그 이전 단계에서 먼저 실행되기 때문
⇒ 변수 호이스팅(variable hoisting)이라고 함
할당 연산자(=
)를 사용
var score; // 변수 선언
score = 80; // 값 할당
var score = 80; //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
변수 선언: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 이전에 먼저 실행
값의 할당: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실행
console.log(score); // undefined
var score; // 변수 선언
score = 80; // 값 할당
console.log(score); // 80
이미 값이 할당되어 있는 변수에 새로운 값을 또다시 할당 하는 것
var score = 80; //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
score = 90; // 재할당
가비지 콜렉터: 애플리케이션이 할당한 메모리 공간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해제하는 기능 → 메모리 누수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