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비디오 코덱: AV1, VVC, MPEG-5 EVC, LCEVC 비교 분석

agnusdei·2025년 3월 24일
0

Network

목록 보기
347/419

차세대 비디오 코덱: AV1, VVC, MPEG-5 EVC, LCEVC 비교 분석


1. 문제

"차세대 비디오 코덱 AV1, VVC(H.266), MPEG-5 EVC, LCEVC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2. 답안

1) 차세대 비디오 코덱 개요

비디오 코덱(Video Codec)은 영상을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술로, 고화질 영상 콘텐츠의 효율적인 전송 및 저장을 위해 필수적이다.

  • HEVC(H.265) 이후, 4K·8K·HDR·VR 등 초고화질 콘텐츠 증가로 인해 더 높은 압축 효율을 가진 차세대 코덱이 요구됨.
  • 현재 AV1, VVC(H.266), MPEG-5 EVC, LCEVC 등이 경쟁하며 비디오 스트리밍, 방송, 5G 서비스, XR(AR/VR) 콘텐츠에서 활용되고 있음.

2) 각 코덱의 개념과 특징

(1) AV1 (AOMedia Video 1, Alliance for Open Media Video 1)

  • 개발 주체: AOMedia(구글, 애플, 넷플릭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삼성 등)
  • 출시 연도: 2018년
  • 목적: HEVC(H.265)보다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무료(로열티 프리)로 사용 가능
  • 특징:
    • HEVC 대비 30~50% 높은 압축 효율
    • 특허 사용료 없음 (오픈소스, 로열티 프리) → 기업 부담 ↓
    • 구글,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크롬 브라우저 등에서 이미 지원
    • 하드웨어 디코더 부족(초기에는 소프트웨어 디코딩 위주) → 최근 인텔, AMD, NVIDIA 등에서 지원 확산
  • 활용:
    •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웹 브라우저(Chrome, Firefox)
    • 4K, 8K 스트리밍, 실시간 방송, 온라인 광고

비유:

  • AV1은 무료로 제공되는 고성능 영상 압축 기술
  • HEVC가 유료 프리미엄 멤버십이라면, AV1은 광고 없는 무료 서비스

(2) VVC (Versatile Video Coding, H.266)

  • 개발 주체: MPEG & ITU-T(국제표준기구)
  • 출시 연도: 2020년
  • 목적: HEVC보다 50% 높은 압축률 제공하여 4K, 8K, VR, 360° 영상 등에 최적화
  • 특징:
    • HEVC 대비 50% 높은 압축 효율
    • 4K, 8K, VR, AR, 360° 콘텐츠에 최적화
    •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높음 (기존 장비에서는 재생 어려움)
    • 특허 라이선스 필요 (MPEG 특허 풀에 속함)
  • 활용:
    • 4K, 8K UHD 방송 및 스트리밍
    • 차세대 IPTV, 위성방송,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 VR/AR, 360도 영상

비유:

  • VVC는 고급 압축 기술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유료 서비스
  • AV1이 무료 유튜브라면, VVC는 넷플릭스 4K 프리미엄 요금제

(3) MPEG-5 EVC (Essential Video Coding)

  • 개발 주체: MPEG(국제표준기구)
  • 출시 연도: 2020년
  • 목적: HEVC와 유사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특허 문제를 줄이기 위한 대안
  • 특징:
    • 두 가지 모드 제공
      • Baseline Profile: 특허 걱정 없이 무료 사용 가능 (로열티 프리)
      • Main Profile: 추가적인 기능 제공 (일부 특허 필요)
    • HEVC 대비 30% 높은 압축률 제공
    • 하드웨어 가속 지원 부족 → 상용화 속도 느림
  • 활용:
    • 영상 스트리밍, 방송, 온라인 미디어

비유:

  • MPEG-5 EVC는 기본 무료 + 프리미엄 유료 기능을 제공하는 앱
  • 필요하면 유료 기능을 쓰고, 아니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음

(4) LCEVC (Low Complexity Enhancement Video Coding, 저복잡도 향상 비디오 코딩)

  • 개발 주체: MPEG (V-Nova 주도)
  • 출시 연도: 2020년
  • 목적: 기존 코덱(AVC, HEVC, AV1, VVC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저사양 장치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
  • 특징:
    • 기존 코덱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압축 레이어를 적용하는 보완 기술
    • 낮은 복잡도로 CPU/GPU 부담을 줄여 저사양 장치에서도 사용 가능
    • 실시간 스트리밍, 게임 스트리밍,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
  • 활용:
    • 모바일 스트리밍, 클라우드 게임, 실시간 방송

비유:

  • LCEVC는 기존 압축 기술에 추가 보정을 해주는 AI 필터
  • 기본 카메라 앱을 그대로 쓰면서도, 필터를 적용하면 더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음

3) 코덱 비교 분석

코덱압축 효율 (HEVC 대비)로열티하드웨어 지원주요 활용 분야
AV1+30~50%무료(로열티 프리)부족(최근 확산 중)유튜브, 넷플릭스, 웹 브라우저
VVC (H.266)+50%유료(특허 필요)고사양 필요4K, 8K, VR, 방송
MPEG-5 EVC+30%무료(Baseline), 유료(Main)부족(상용화 중)스트리밍, 방송
LCEVC+20~30% (기존 코덱 보완)유료(일부 기술 특허)저사양에서도 가능모바일, 클라우드 게임

4)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

(1) AV1 vs VVC 경쟁 구도

  • AV1은 무료이므로 기업들이 빠르게 채택하는 중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브라우저 등)
  • VVC는 압축률이 높지만, 특허 비용 문제로 채택 속도가 느림

(2) MPEG-5 EVC와 LCEVC의 역할

  • MPEG-5 EVC는 HEVC 대체용으로 일부 기업들이 고려 중
  • LCEVC는 기존 코덱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저사양 장치에서 유리

5) 결론

  • AV1: 로열티 프리, 빠르게 확산 중
  • VVC: 가장 높은 압축률, 그러나 특허 비용 부담
  • MPEG-5 EVC: 무료 + 유료 옵션 제공, 하지만 아직 채택 속도 느림
  • LCEVC: 기존 코덱 보완 역할, 저사양 장치에서 유리

차세대 비디오 스트리밍 및 방송 시장에서 AV1과 VVC가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 잡고 있으며, 향후 4K, 8K 및 XR 콘텐츠의 증가에 따라 각 코덱의 활용 범위가 달라질 전망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