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특성 굴절, 회절, 통과

agnusdei·2025년 3월 24일
0

Network

목록 보기
348/419

장애물에서의 신호 전파 특성: 굴절, 회절, 통과


1. 문제

"무선 신호가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발생하는 굴절, 회절, 통과 현상을 설명하시오."


2. 답안

무선 신호(전자기파)는 전파되는 과정에서 건물, 산, 나무, 벽 등 다양한 장애물과 만나게 된다. 이때, 신호는 굴절(Refraction), 회절(Diffraction), 통과(Penetration) 등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겪으며 진행하게 된다.


1) 굴절(Refraction, 屈折)

(1) 개념

굴절은 전파가 서로 다른 매질(공기, 물, 유리 등)을 통과할 때 진행 방향이 휘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 굴절률(refractive index)이 다른 두 매질을 지날 때, 파장의 속도가 변화하며 신호의 경로가 바뀜.
  • 공기 중 습도, 기온 변화에 의해서도 전파가 굴절될 수 있음.

(2) 원리

  • 스넬의 법칙(Snell’s Law):
    • 매질 1과 매질 2의 굴절률을 각각 n₁, n₂, 입사각을 θ₁, 굴절각을 θ₂라 할 때:
      n₁ sin(θ₁) = n₂ sin(θ₂)
  • 굴절률이 높은 매질로 갈수록 신호는 굴절되며 진행 방향이 휘어짐.

(3) 예시

  • 대기 굴절: 기온 변화로 인해 무선 신호가 굴절되어 멀리까지 전파되는 현상(초단파 VHF/UHF 이상에서 발생)
  • 바다 위에서 전파가 멀리까지 전달되는 경우

비유:

  • 수영장에서 물속에 손을 넣으면 손이 휘어 보이는 현상과 유사함.

2) 회절(Diffraction, 回折)

(1) 개념

회절은 전파가 장애물의 가장자리나 작은 틈을 지나면서 방향을 바꾸어 퍼지는 현상이다.

  • 장애물이 있지만 신호가 직진하는 대신 휘어져 뒤쪽까지 전달됨.
  • 장애물 크기가 신호의 파장보다 작을수록 회절 효과가 강해짐.

(2) 원리

  • 프레넬 영역(Fresnel Zone): 장애물에 의해 전파가 차단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는 공간.
  • 호이겐스 원리(Huygens' Principle): 파동의 각 점은 새로운 파동을 만들어내며 전파됨.

(3) 예시

  • 라디오 신호가 건물 뒤편에서도 들리는 현상
  • AM 라디오(중파, 300m~1km 파장)가 산 뒤쪽에서도 잘 수신되는 이유

비유:

  • 바닷가 방파제에 부딪힌 파도가 방파제 뒤쪽으로 돌아 들어오는 현상과 비슷함.

3) 통과(Penetration, 透過)

(1) 개념

통과는 전파가 장애물을 직접 뚫고 지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 매질에 따라 신호 감쇠(손실)가 발생하지만, 일부 전파는 그대로 진행할 수 있음.
  • 주파수가 낮을수록(파장이 길수록) 통과 성능이 좋음.

(2) 원리

  • 전파의 주파수(파장)가 낮을수록 통과율이 높음.
    • 낮은 주파수(AM/FM 라디오, VHF)는 건물 내부로 잘 침투함.
    • 높은 주파수(5G mmWave, Wi-Fi 6GHz)는 벽을 거의 통과하지 못함.
  • 장애물의 두께와 재질에 따라 신호 감쇠가 달라짐.
    • 금속은 전파를 반사시켜 통과가 거의 불가능함.
    • 콘크리트는 신호를 일부 흡수하면서 감쇠 발생.
    • 유리는 비교적 신호를 잘 통과시킴.

(3) 예시

  • AM/FM 라디오가 실내에서도 들리는 이유 (AM: 1km 파장, FM: 3m 파장)
  • 5G mmWave(밀리미터파)가 건물 내부로 잘 전달되지 않는 이유

비유:

  • 투명한 유리는 빛을 통과시키지만, 금속판은 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과 비슷함.

3. 비교 분석

구분정의특징파장 의존성예시
굴절 (Refraction)매질 변화로 인해 신호가 휘어지는 현상기온, 습도 변화에 따라 발생파장과 관계없이 발생 가능대기 굴절, 신호가 멀리까지 전달됨
회절 (Diffraction)장애물 가장자리에서 신호가 휘어지는 현상장애물 뒤쪽까지 신호 전달파장이 길수록 강함AM 라디오, 산 뒤편에서도 신호 도달
통과 (Penetration)신호가 장애물을 뚫고 지나가는 현상재질과 주파수에 따라 감쇠율 다름파장이 길수록 잘 통과FM 라디오(건물 내부), Wi-Fi(벽 통과)

4.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

(1) 5G 및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영향

  • 5G mmWave(밀리미터파, 24GHz 이상)는 통과 성능이 낮고 회절도 잘 안됨 → 장애물 많은 도심에서 소형 기지국(Small Cell) 필요
  • 저주파수 5G(700MHz~3.5GHz)는 건물 내부에서도 잘 통과 → 실내 커버리지 확보 가능
  • 회절과 굴절을 고려한 메타물질 안테나, 빔포밍 기술 개발 중

(2) 미래 기술 적용

  • 위성 인터넷(스타링크, OneWeb): 대기 굴절을 고려한 최적화 전송 경로 연구 중
  • 스마트 빌딩 및 IoT: 벽 투과성이 높은 저주파 대역 활용
  • 6G 네트워크: 테라헤르츠(THz) 주파수 대역 연구 진행 → 장애물 회절, 통과 극복 기술 필요

5. 어린이 버전 설명

  • 굴절(Refraction)이 뭐야?
    → 물속에서 수영하는 친구를 보면 몸이 휘어 보이는 것처럼, 신호도 매질이 바뀌면 방향이 휘어진단다!

  • 회절(Diffraction)은?
    → 장애물이 있어도 소리가 돌아서 들리는 것처럼, 전파도 장애물 뒤쪽까지 휘어질 수 있어!

  • 통과(Penetration)는?
    → 햇빛이 유리창을 통과하듯이, 전파도 어떤 재질은 뚫고 지나갈 수 있어!


6. 결론

무선 통신에서 신호가 장애물과 만나면 굴절, 회절, 통과 현상이 발생하며, 주파수와 장애물 특성에 따라 신호의 전파 방식이 달라진다.

  • 저주파(AM, FM, VHF)는 회절과 통과가 잘되어 실내, 산 뒤에서도 수신 가능
  • 고주파(5G mmWave, Wi-Fi 6GHz)는 장애물에 막혀 회절과 통과가 어려움
  • 미래 6G, 위성 통신에서는 전파 특성을 최적화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면 5G, Wi-Fi, 라디오,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