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재난통신(Disaster Communication)의 단계적 기능을 설명하고, 위성망을 이용한 재난 서비스를 기술

agnusdei·2025년 4월 16일
0

Network

목록 보기
410/419

문제

재난통신(Disaster Communication)의 단계적 기능을 설명하고, 위성망을 이용한 재난 서비스를 기술하시오.

답변

1. 개념 & 핵심

재난통신(Disaster Communication)은 태풍, 지진, 홍수 등 재해나 재난 상황에서 일반 통신망이 마비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특수 통신체계입니다. 재난통신의 핵심은 재난 상황에서의 통신 연속성(Communication Continuity), 복원력(Resilience),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이며, 재난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정보 전달과 지휘체계 유지를 목표로 합니다.

2. 등장배경 & 목적

등장배경:

  • 9/11 테러(2001), 허리케인 카트리나(2005), 동일본 대지진(2011) 등 대형 재난 시 기존 통신망의 붕괴로 초기 대응의 한계 경험
  • 재난 발생 시 이동통신망 폭주(Traffic Congestion) 현상으로 인한 통신 두절 문제 발생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증가와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대비한 통신체계 필요성 증대

목적:

  • 재난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
  • 신속한 상황 전파와 효율적 재난대응 지원
  • 구조·구급 활동의 효율성 증대
  •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적시적 정보 전달

3. 역할

  •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상황 전파 및 피해 정보 수집
  • 구조기관 간 원활한 협력체계 구축 지원
  • 재난대응 지휘체계(ICS: Incident Command System) 유지
  • 피해자 위치 파악 및 구조 활동 지원
  • 대국민 재난정보 전달 및 안전 가이드 제공
  • 임시 대피소, 의료시설 등과의 통신 지원

4. 활용 계층 또는 범위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재난대응기관
  • 경찰, 소방, 군, 의료기관 등 긴급구조기관
  • 통신사업자 및 PPDR(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담당 기관
  • NGO 및 자원봉사 조직
  • 재난지역 주민 및 일반 시민
  • 국제적 재난 시 국가 간 구호활동 지원

5. 구성요소

  • 핵심 인프라: 위성통신망, PS-LTE(Public Safety-LTE), 재난안전통신망, 해상·항공 통신망
  • 단말기: 무전기, 위성전화, 재난안전단말기, 긴급통신용 모바일 기기
  • 백업시스템: 비상발전기,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동형 기지국
  • 통신제어시스템: 통합관제센터, 트래픽 우선순위 제어, 통합메시지 발송 시스템
  • 재난정보 플랫폼: 재난정보 수집·분석·전파 시스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긴급경보시스템: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DMB 재난경보, 재난문자

6. 시간순 작동 순서

1) 재난 대비 단계

  • 재난통신망 구축 및 정기적 점검
  • 재난 시나리오별 통신체계 수립 및 훈련
  • 백업 시스템 및 대체 통신수단 준비

2) 재난 초기 인지 단계

  • 재난 감지 시스템을 통한 조기 경보
  • 긴급재난문자(CBS) 발송으로 국민 알림
  • 재난통신망 가동 및 통신 트래픽 모니터링

3) 재난 대응 단계

  • 일반 통신망 손상 시 비상통신망 자동 전환
  • 이동형 기지국(COW: Cell On Wheels) 배치
  • 위성통신망 활성화 및 우선통신권(Priority Access) 부여
  • 재난지역 정보수집 및 상황전파

4) 복구 단계

  • 임시통신망 확대 및 안정화
  • 손상된 통신시설 복구 작업 전개
  • 구호활동 지원을 위한 통신체계 유지

5) 정상화 단계

  • 일반 통신망 복구 및 기능 정상화
  • 재난통신 운영 결과 분석 및 개선점 도출
  • 통신인프라 재건 및 강화

7. 종류

지상 재난통신 시스템:

  • PS-LTE(Public Safety-LTE): 경찰, 소방, 구급 등을 위한 전용 통신망
  •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
  • DMR(Digital Mobile Radio): 디지털 이동무선 통신
  •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자가구성형 무선 네트워크

위성 기반 재난통신 시스템:

  • 정지궤도 위성통신(GEO): 넓은 지역 커버리지, 고정 안테나 사용
  • 중궤도 위성통신(MEO): 중간 고도의 위성을 활용한 통신
  • 저궤도 위성통신(LEO): 지연시간이 짧고 이동성이 높은 통신
  • 긴급 위성 통신(Emergency SATCOM): 재난 특화 위성통신 서비스

융합형 재난통신 시스템:

  • HAP(High Altitude Platform): 성층권 통신 중계 플랫폼
  • 드론 기반 통신망: 이동형 공중 중계소
  • 하이브리드 재난통신망: 지상망과 위성망의 복합 운용

8. 장단점

장점:

  • 재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통신 지원 가능
  • 넓은 지역에 대한 신속한 통신 제공
  • 기존 통신망의 붕괴에도 독립적 운용 가능
  • 상호운용성을 통한 다양한 기관 간 협력 지원
  • 정확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으로 구조활동 효율 향상

단점:

  • 구축 및 유지 비용이 높음
  • 위성통신의 경우 지연시간(Latency) 존재
  • 특수 단말기 보급 및 사용자 교육 필요
  • 위성망의 경우 기상조건에 영향 받을 수 있음
  • 위성 자원의 한계로 인한 대역폭 제약 가능성

9. 전망 & 개선점

전망:

  • 5G/6G 기술을 활용한 초고속, 초저지연 재난통신 발전
  • 저궤도 위성 군집(Constellation) 확대로 글로벌 커버리지 향상
  • AI 기반 재난예측 및 통신자원 최적화 기술 발전
  •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연계한 스마트 재난통신 인프라 구축

개선점:

  • 지역 간, 기관 간 통신표준 호환성 확보 필요
  • 위성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저가격화
  • 재난통신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성 개선
  • 사이버보안 강화를 통한 재난통신망 안정성 확보
  • 민간 통신사와 공공 재난통신망의 효율적 연계체계 구축

10. 어린이 버전 요약

재난통신은 큰 태풍이나 지진 같은 위험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이 서로 연락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전화기와 네트워크예요. 일반 전화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도 위성(하늘에 떠 있는 우주 장비)을 통해 구조대원들이 서로 연락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찾을 수 있어요. 이런 특별한 통신 시스템은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리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도록 도와주며, 구조대원들이 협력해서 사람들을 구하는 데 꼭 필요한 도구랍니다. 마치 어떤 상황에서도 꺼지지 않는 특별한 손전등처럼, 재난통신은 위험한 순간에 우리를 안전하게 지켜주는 든든한 도우미예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