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subnet supernet

agnusdei·2024년 11월 18일
0

Network

목록 보기
13/419

질문: TCP/IP에서 Subnetting과 Supernetting에 대해 설명하시오.

답변:

  1. 목적

    • Subnetting (서브네팅)
    • 대규모 네트워크를 더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 Supernetting (수퍼네팅)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하나의 더 큰 네트워크로 묶어 라우팅 테이블을 축소하고 네트워크 관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주로 라우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2. 개념

    • Subnetting:
    •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서브넷(Subnet)으로 분할하는 과정입니다.
    •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네트워크 간의 충돌(domain collision)을 방지합니다.
    • Supernetting:
    •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를 묶어 하나의 수퍼넷(Supernet)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 주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을 사용하여 IP 주소를 통합합니다.

  3. 원리 및 작동 순서

1) Subnetting 작동 순서

1.	네트워크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 (서브넷 개수, 각 서브넷의 호스트 수)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계산합니다.
•	기본 네트워크 마스크에 비트를 추가하여 서브넷을 만듭니다.
3.	각 서브넷에 고유한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합니다.
4.	라우터가 각 서브넷 간 트래픽을 관리하도록 구성합니다.

2) Supernetting 작동 순서

1.	통합할 네트워크를 정의합니다.
•	IP 주소 블록이 연속적이어야 합니다.
2.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 공통 서브넷 마스크를 계산합니다.
3.	새로 생성된 하나의 큰 네트워크로 IP 블록을 통합합니다.
4.	라우터에 해당 정보를 설정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단순화합니다.
  1. Subnetting과 Supernetting의 종류

1) Subnetting

•	Fixed-Length Subnet Mask (FLSM)
•	모든 서브넷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방식.
•	Variable-Length Subnet Mask (VLSM)
•	각 서브넷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방식으로, 유연한 IP 주소 활용 가능.

2) Supernetting

•	주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로 구성되며, 추가적인 분류는 없습니다.
  1. 장단점 비교

1) Subnetting의 장단점

장점
• IP 주소 낭비 최소화.
•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 보안 및 관리 효율성 향상.

단점
• 관리 복잡성 증가.
• 추가 설정으로 인한 라우터 부하 증가.

2) Supernetting의 장단점

장점
• 라우팅 테이블 크기 감소.
• 라우터 성능 향상.
•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 단순화.

단점
• IP 주소 통합이 어려운 경우 발생.
• CIDR을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장비와의 호환성 문제.

  1. Subnetting과 Supernetting의 비교

항목 Subnetting Supernetting
목적 네트워크 분할 네트워크 통합
주요 기법 네트워크 마스크 확장 네트워크 마스크 축소
사용 환경 내부 네트워크 세분화 ISP 또는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
주요 표기법 서브넷 마스크 CIDR
효과 보안 강화, 트래픽 감소, IP 효율성 라우팅 효율성, 관리 간소화

  1. 개선점 및 전망

    1. IPv6
      • Subnetting과 Supernetting의 개념은 IPv6에서도 유효하지만, IPv6는 방대한 주소 공간을 제공하여 서브넷 분할에 더 유연합니다.
    2.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 SDN 기술을 활용하면 네트워크 세분화 및 통합 과정이 더욱 자동화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3. 보안 강화
      • Subnetting을 활용한 네트워크 격리는 보안 위협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2. 결론

Subnetting과 Supernetting은 각각 네트워크를 세분화하거나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관리 및 라우팅을 단순화하는 중요한 기법입니다. IPv4의 제한적인 주소 공간에서는 필수적이며, 향후 IPv6 환경에서도 그 응용 가능성이 넓을 것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