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bcp

agnusdei·2025년 4월 7일
0

Network

목록 보기
380/419

다음은 기술사 시험 수준에 맞춰, BCP(Business Continuity Plan, 업무 연속성 계획)를 위한 재해복구시스템(Disaster Recovery System) 구성에 대한 모범답안 형식의 상세한 설명입니다.


1. 문제

BCP(Business Continuity Plan)를 위한 재해복구시스템 구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답안

1) BCP와 재해복구시스템의 개념

  • BCP (업무 연속성 계획, Business Continuity Plan)
    기업이 재해, 사고, 사이버 공격 등 예기치 못한 중단 상황에서도 핵심 업무를 지속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전사적 전략 및 실행 계획
    목적: 조직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조기 복구를 통해 업무 연속성 확보

  • DR (재해복구, Disaster Recovery)
    재해(천재지변, 전원장애, 해킹 등)로 인한 시스템 장애 발생 시, IT 인프라와 데이터를 복구하는 기술적 시스템 구성
    BCP의 핵심 하위 요소로 기능


2) BCP를 위한 재해복구시스템 구성요소

(1) 구성 요소별 설명

① 주요 자산 식별 및 영향 분석 (BIA: Business Impact Analysis)

  • 중요 업무 및 자산 파악
  • 중단 시 영향을 정량/정성 분석하여 우선 순위 도출

② 복구 목표 수립

  • RTO (Recovery Time Objective): 복구까지의 목표 시간
  •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복구 시점 기준으로 허용 가능한 데이터 손실량

③ DR 센터 구성 (이중화 구성)

  • 온프레미스 이중화 또는 클라우드 DR 센터
  • 핫사이트(Hot Site): 실시간 복제, 즉시 전환 가능
  • 웜사이트(Warm Site): 주기적 동기화, 일부 수작업 필요
  • 콜드사이트(Cold Site): 인프라만 준비, 복구까지 시간 소요

④ 데이터 및 시스템 복제 방식

  • 동기식 복제(Synchronous Replication): 실시간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양쪽에 저장
  • 비동기식 복제(Asynchronous Replication): 일정 주기로 복제, 대역폭 효율적

⑤ DR 시나리오 및 전환 전략 수립

  • 장애 유형별 대응 플랜 (단일 서버 장애, 전원장애, 통신망 두절 등)
  • 자동 전환(Failover) 또는 수동 전환(Failback) 정책

⑥ 주기적 DR 훈련 및 모의 테스트

  • 계획 수립만으로는 불충분 → 정기적 테스트 및 교육 필수

⑦ BCP 통합 관리 체계 구축

  • 전사 관점의 통합 포탈 운영
  • SLA(서비스 수준 협약), KPI(핵심성과지표) 기반 지속적 점검

3) BCP 재해복구시스템 구성 방안 시나리오

[예시 구성]

  • 본사 DC (Data Center)에 주요 서비스 운영
  • DR 센터는 지역 이원화된 이중화 센터에 구축 (예: AWS, Azure, KT Cloud)
  • 실시간 복제를 위한 SAN(Storage Area Network) 기반 동기식 복제
  • 자동 장애 감지 및 페일오버 시스템 도입 (ex. GSLB, HA 구성)
  • 연 1~2회 전체 DR 모의훈련 수행 → 보고서 작성 및 피드백 개선

3.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

  • 현재 상황
    클라우드 확산과 함께 클라우드 기반 DR 서비스 수요 증가
    팬데믹, 랜섬웨어 등 위협 증가로 인해 BCP 중요성이 더욱 강조됨
    국내 금융권, 공공기관 중심으로 DR 시스템 의무화

  • 향후 전망

    • AI 기반 자율 복구(AIOps) 기능 도입 확대
    • 멀티 클라우드 DR 환경 증가
    • Zero RPO/Zero RTO 실현을 위한 Always-on Architecture 진화
    • BCP 영역이 IT 인프라 → 인력, 조직, 공급망 등 통합 위기관리 체계로 확대

4. 어린이 버전 설명

회사나 은행이 갑자기 정전되거나 컴퓨터가 고장 나면, 일을 계속 못하게 돼.
그럴 때를 대비해서 미리 백업 컴퓨터와 장소를 준비해두는 것이 바로 재해복구 시스템이야.
그리고 이 시스템을 포함해서 회사가 계속 일을 할 수 있게 전체적으로 준비하는 계획을 BCP라고 해.
이걸 잘 해두면 갑자기 사고가 나도 금방 다시 일할 수 있어!


아래는 BCP(업무 연속성 계획)을 위한 재해복구시스템(Disaster Recovery System)의 구성 흐름을 이해하기 쉬운 시각화 구조도입니다.


[BCP 기반 재해복구시스템 구성도]

┌─────────────────────────────┐
│         본사 운영센터         │
│ ┌─────────────────────┐ │
│ │  서비스 서버 및 DB         │ │
│ └─────────────────────┘ │
│         ↓ 실시간 동기화        │
│     (Synchronous Replication)│
└────────────┬────────────┘
             │
             ▼
┌─────────────────────────────┐
│         DR 센터(재해복구센터) │
│ ┌─────────────────────┐ │
│ │  대기 서버 및 DB          │ │
│ │  (Warm / Hot Site)    │ │
│ └─────────────────────┘ │
│       자동 장애 감지          │
│       (Failover System)      │
└─────────────────────────────┘

※ 주기적 DR 모의훈련 및 RTO/RPO 목표 확인 필수

[구성 흐름 설명]

  1. 본사 운영센터:

    • 메인 서비스가 구동되는 장소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2. 데이터 복제:

    • 재해에 대비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복제
    • 동기식(Synchronous): 실시간 완벽 복제
    • 비동기식(Asynchronous):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제 (네트워크 부담 줄임)
  3. DR 센터:

    • 지역 이원화되어 물리적 분리된 재해복구 장소
    • 운영 모드에 따라 Hot/Warm/Cold Site로 나뉨
  4. 장애 감지 및 전환(Failover):

    • 본사에 장애 발생 시 DR 센터로 자동 또는 수동 전환
    • 빠른 복구를 위해 전환 시나리오 및 매뉴얼 필요
  5. 테스트 및 유지관리:

    • 정기적인 DR 훈련, 복구 테스트 수행
    • BCP 전반 검토 및 SLA 기반 모니터링 진행

요약하면
"본사에서 서비스 운영 → DR 센터에 실시간 백업 → 장애 발생 시 자동 전환 → 서비스 지속"
이 구조가 BCP 관점의 이상적인 재해복구 시스템 구성도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