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데이터 모델링 Conceptual Data Modeling

agnusdei·2025년 5월 4일
0

Database

목록 보기
13/30

개념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정의 (Definition)

**개념 데이터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이란,

“사용자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데이터의 주요 개체(엔터티), 속성, 관계를 추상적으로 정의하여 정보의 구조를 표현하는 활동”입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가장 초기 단계로, 시스템이 다뤄야 할 업무 중심의 정보 구조를 기술적 세부사항 없이 비즈니스 관점에서 시각화하는 작업입니다.


2. 주제영역 정의 (Definition of Subject Area)

**주제영역(Subject Area)**이란,

“서로 연관된 데이터 개체들을 비즈니스 의미에 따라 논리적으로 그룹화한 상위 개념”입니다.

즉, 전체 시스템 내에서 동일한 주제나 목적을 가진 엔터티들을 하나의 업무 단위로 묶어 모델링의 범위를 체계적으로 나누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 고객 영역: 고객, 주소, 연락처
  • 상품 영역: 상품, 분류, 재고
  • 주문 영역: 주문, 주문상세, 결제

목적: 대규모 모델을 업무 단위별로 분리함으로써 관리 효율성, 가독성, 유지보수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3. 목적 (Purpose)

  • 업무 데이터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정의
  • 이해관계자 간 공통된 이해 기반 마련
  • 논리/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의 출발점
  • 중복 제거 및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 확보

4.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주제영역(Subject Area)유사 엔터티들을 묶는 상위 분류
엔터티(Entity)독립적 실체, 예: 고객, 주문
속성(Attribute)엔터티의 세부 항목, 예: 이름, 연락처
관계(Relationship)엔터티 간의 연관성, 예: 고객은 주문을 한다

5. 모델링 절차

  1. 업무 분석 및 요구사항 수집
  2. 주제영역 도출 및 업무 범위 분할
  3. 핵심 엔터티 및 속성 식별
  4. 엔터티 간 관계 정의
  5. 개념 ERD 작성
  6. 업무 검토 및 사용자 피드백 반영
  7. 논리 모델 설계로 전환 준비

6. 주요 산출물

  • 개념 수준 ERD (Entity-Relationship Diagram)
  • 주제영역 구성도
  • 엔터티/속성/관계 정의서
  • 업무 흐름-데이터 매핑 문서

7. 모델 비교

구분개념 모델논리 모델물리 모델
초점업무 개념구조적 정합성DB 구현
사용자설계자, 사용자설계자, DBADBA, 개발자
독립성기술/DBMS 독립논리 독립종속적
표현 수준추상적구체적물리적

8. Best Practice

  • 중복 없는 주제영역 정의와 경계 설정
  • 업무 용어와 데이터 명세의 일치성 확보
  • 단순화보다 명확한 관계 표현이 우선
  • 확장성과 변경 용이성을 고려한 설계

9. 기술사 관점의 시사점

  • 개념 데이터 모델링은 요구사항의 정확성 및 시스템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단계
  • 주제영역 중심 설계는 데이터 아키텍처 체계 수립 및 데이터 거버넌스 기반이 됨
  • 기술 독립적인 정보 구조 설계는 미래 지향적 시스템 구현에 유리

10. 어린이 버전 요약

개념 데이터 모델링은 시스템을 만들기 전에 무엇이 들어갈지 그려보는 작업이에요.
예를 들어 피자 가게를 만든다고 하면, ‘손님’, ‘피자’, ‘주문’처럼 큰 주제(주제영역)를 먼저 나누고,
각각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정리해요. 그리고 누가 무엇을 하는지(관계)를 연결해줘요.
이렇게 하면 나중에 프로그램을 만들 때 훨씬 더 쉬워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