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H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agnusdei·2024년 12월 25일
0

Network

목록 보기
149/419

PDH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1. 개념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는 통신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다단계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Plesiochronous"는 "거의 동기화"를 의미합니다. 신호 전송이 완전히 동기화되지 않아도 전송할 수 있는 구조를 기반으로 합니다.


2. 등장배경 & 목적

등장배경
1970년대 디지털 통신이 발달하면서, 음성 및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특히, 다양한 대역폭의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고속 채널로 통합하려는 요구가 증가하면서 PDH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목적

  • 효율적인 대역폭 활용
  • 디지털 데이터 전송의 표준화
  • 멀티플렉싱(다중화) 기술을 통해 여러 사용자 신호를 하나의 전송 경로로 통합

3. 역할

  1. 다중화: 저속 데이터 신호를 고속 데이터 신호로 병합.
  2. 비동기 데이터 전송: 각 신호가 완전히 동기화되지 않아도 전송 가능.
  3. 오류 제어: 전송 중 발생하는 신호 왜곡을 보정.
  4. 기본 전송망 지원: 음성 및 데이터를 기본 통신망에서 효율적으로 전송.

4. 구성요소

  1. 단일 채널: 각각의 신호가 고유한 속도를 가짐.
  2. 다중화 장비(Multiplexer): 여러 개의 신호를 고속 신호로 병합.
  3. 전송 매체: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사용.
  4. 디지털 인터페이스: 다양한 속도의 신호를 다루는 장치.

5. 시간순 작동 순서

  1. 단일 신호 수집: 개별 신호(예: 음성, 데이터)를 수집.
  2. 동기화 조정: 각 신호의 속도를 일치하도록 조정.
  3. 다중화: 여러 신호를 하나의 고속 신호로 병합.
  4. 전송: 병합된 신호를 전송.
  5. 역다중화(Demultiplexing): 전송된 신호를 개별 신호로 분리.

6. 종류

  1. 1차 군(Primary Group): 2Mbps 전송 속도.
  2. 2차 군(Secondary Group): 8Mbps 전송 속도.
  3. 3차 군(Tertiary Group): 34Mbps 전송 속도.
  4. 4차 군(Quaternary Group): 140Mbps 전송 속도.

7. 장단점

장점
1. 구현 용이성: 초기 디지털 통신망에서 쉽게 구현 가능.
2. 비용 절감: 초기 구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
3. 다양한 신호 처리: 비동기 신호의 전송 가능.

단점
1. 복잡한 동기화: 비동기 신호 전송으로 인해 복잡한 동기화 과정 필요.
2. 유지보수 문제: 다중화 과정에서 오류 발생 시 문제 해결이 어려움.
3. 확장성 부족: 고속 데이터 전송에는 한계.


8. 전망 & 개선점

PDH는 현재의 통신 환경에서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및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와 같은 동기식 전송 기술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 전망: 광대역 통신의 확산으로 PDH의 역할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보임.
  • 개선점: 고속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반영한 동기화 기술의 도입 필요.

9. 쉽게 요약

PDH는 여러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고속 채널로 병합하여 전송하는 비동기식 기술입니다. 초창기 디지털 통신망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동기식 전송 기술의 등장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