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망의 계층 구조 (Optical Network Layers)
1. 개념
광망(Optical Network)은 광섬유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로, 대규모 데이터 전송과 높은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광망 계층 구조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관리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역할과 기능에 따라 구분됩니다.
2. 등장배경 & 목적
- 등장배경:
- 데이터 트래픽 증가, 초고속 인터넷, IoT, 5G,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확산으로 고속 및 안정적인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 기존 전기 신호 기반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
- 목적:
- 효율적 데이터 전송: 대용량 데이터 전송.
- 투명성: 다양한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범용 네트워크.
- 확장성: 미래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구조.
3. 역할
광망 계층은 각 계층이 특정 기능을 담당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 물리적 데이터 전송(하위 계층)부터 데이터 처리 및 관리(상위 계층)까지 담당.
4. 구성요소
광망은 일반적으로 3계층으로 나뉩니다.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역할:
- 빛(광신호)을 매개로 데이터 전송.
- 광섬유, 송수신 장비, 증폭기 구성.
- 구성 요소:
- 광섬유 케이블(Fiber Cable).
- 광 송신기 및 수신기(Optical Transmitter/Receiver).
- DWDM 장비(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역할:
- 구성 요소:
- OTN(Optical Transport Network) 프레임.
-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역할:
- 데이터 라우팅 및 관리.
- 연결 설정, 트래픽 제어.
- 구성 요소:
-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기술.
- GMPLS(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5. 시간순 작동 순서
- 물리 계층:
- 데이터가 빛의 형태로 변환되어 광섬유로 전송.
- 링크 계층:
- 전송된 데이터가 프레임으로 나뉘어 오류 검증 및 수정.
- 네트워크 계층:
6. 종류
- PON (Passive Optical Network):
- 액티브 장치 없이 데이터 분배.
- 비용 절감 및 낮은 유지보수.
-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광파장별로 데이터 다중화.
- DWDM, CWDM 등 세분화.
- ROADM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7. 장단점
장점
- 고속 대역폭 제공.
- 낮은 지연 시간.
- 장거리 데이터 전송 가능.
단점
- 초기 설치 비용이 높음.
- 네트워크 관리 및 유지보수 복잡.
8. 전망 & 개선점
- 전망:
- 6G 네트워크와의 연계, IoT 확대 등으로 수요 증가.
- 전력 효율 개선과 초저지연 네트워크 발전.
- 개선점:
- 광섬유 설치 비용 절감 기술 개발.
- AI 기반 네트워크 관리 자동화.
9. 쉽게 요약
광망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 계층, 데이터를 처리하는 링크 계층,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라우팅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나뉩니다. 이는 대용량,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향후 더욱 진화하여 스마트 네트워크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