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agnusdei·2024년 12월 30일
0

Network

목록 보기
163/419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1. 개념

HD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기반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점대점(Point-to-Point) 및 다중 접속(Multipoint)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표준화하였으며, 오류 검출, 흐름 제어, 동기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2. 등장배경 & 목적

등장배경

  • 1960년대 데이터 통신의 발전과 네트워크 복잡성 증가로 인해 신뢰성 있고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필요했습니다.
  • IBM에서 개발한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를 기반으로 국제 표준으로 확장한 것이 HDLC입니다.

목적

  • 다양한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 오류 없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제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프레임 구조 제공.
  • 다중 접속 및 다양한 장비 간 호환성 확보.

3. 역할

  • 데이터 전송 제어: 송수신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
  • 오류 검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CRC 방식 사용).
  • 흐름 제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송신자가 과도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방지.
  • 동기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식별하여 데이터가 정확히 전송되도록 보장.

4. 활용 계층 또는 범위

  • 데이터 링크 계층: OSI 7계층 중 2계층에서 사용.
  • 점대점 및 다중 접속 네트워크: WAN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LAN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활용.
  • 동기식 통신: 동기식 방식에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전송.

5. 구성요소

HDLC는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프레임 구조

  1. 플래그(Flag):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정 비트 패턴(01111110).
    • 전송 중 데이터와 플래그를 구분하기 위해 비트 스터핑(Bit Stuffing) 사용.
  2. 주소(Address):

    • 데이터를 송수신할 장치의 주소를 지정.
  3. 제어(Control):

    • 프레임의 유형(정보, 유효성 확인, 제어)을 정의.
    • 송수신 간 통신 제어 및 흐름 관리를 수행.
  4. 데이터(Data):

    • 실제 전송하려는 데이터(최대 4KB).
  5. FCS(Frame Check Sequence):

    • 오류 검출을 위한 정보(CRC 방식).

6. 시간순 작동 순서

  1. 연결 설정: 송신자와 수신자 간 통신 연결을 설정.
  2. 데이터 프레임 생성: 송신자가 데이터를 HDLC 프레임 구조로 변환.
  3. 데이터 전송: 송신자가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자는 이를 수신.
  4. 오류 검출: 수신자가 FCS를 통해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
    • 오류 발생 시 송신자에게 재전송 요청.
  5. 연결 해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통신을 종료.

7. 종류

운영 모드

  1. Normal Response Mode(NRM)

    • 주(master) 장치가 통신을 제어하고, 종(slave) 장치가 응답.
    • 단방향 통신이 주를 이루며, 메인프레임 환경에 적합.
  2. Asynchronous Balanced Mode(ABM)

    • 주와 종의 구분 없이 양방향 통신 가능.
    • 현재 대부분의 HDLC 통신에서 사용.
  3. Asynchronous Response Mode(ARM)

    • 비동기 방식으로 통신하며, 주 장치의 제어를 받지만 독립적으로 전송 가능.

8. 장단점

장점

  1. 표준화된 프레임 구조: 모든 데이터 전송을 일정한 형식으로 처리.
  2. 신뢰성: 오류 검출과 흐름 제어를 통해 안정적 전송 보장.
  3. 다양한 환경 지원: 점대점, 다중 접속, 동기식 통신 등에서 활용 가능.
  4. 유연성: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와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

단점

  1. 복잡성: 프레임 처리와 비트 스터핑 등 구현이 복잡.
  2. 오버헤드: 오류 검출 및 제어 정보로 인해 전송 효율이 감소할 수 있음.
  3. 속도 한계: 고속 데이터 전송에서는 다른 프로토콜보다 성능이 낮을 수 있음.

9. 전망 & 개선점

전망

  • HDLC는 여전히 WAN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전통적인 데이터 통신 장치에서 주요 프로토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IoT와 같은 소규모 데이터 전송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선점

  • 효율 향상: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도록 프레임 구조 단순화.
  • 오류 복구: 더 빠르고 효율적인 오류 복구 메커니즘 도입.
  • 보안 기능 추가: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암호화 기능 포함.

10. 쉽게 요약

HDLC는 데이터 전송 시 오류를 검출하고 흐름을 제어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는 일정한 프레임 형식으로 전송되며, 오류 검출(FCS), 시작/종료 표시(플래그)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점대점과 다중 접속 환경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