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트형 페이딩(Ducting Fading)은 전파(특히 마이크로파나 라디오파)가 대기 중에서 전파될 때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로, 대기의 특정 조건으로 인해 전파가 지표면과 대기층 사이에 갇혀 원래 도달해야 하는 거리보다 훨씬 더 먼 거리까지 전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파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강도의 변동(페이딩)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덕트형 페이딩은 대기 중의 온도 역전층(Temperature Inversion Layer)이나 습도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역전층이 형성됩니다. 이 역전층은 전파의 굴절률을 변화시켜 전파가 대기 중에서 굴절되거나 갇히게 합니다.
덕트형 페이딩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1. 온도 역전층: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상층보다 차가운 경우(예: 밤시간 지표면의 급격한 냉각).
2. 습도 변화: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매우 건조하고 상층이 습한 경우.
3. 기상 조건: 안개, 구름, 또는 고기압 시스템이 있을 때.
덕트형 페이딩은 전파 통신 시스템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1. 신호 강도의 변동: 전파가 덕트에 갇히면 신호가 예상보다 더 먼 거리까지 전파되어, 원래 수신 범위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신호가 수신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간섭이나 신호 왜곡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통신 장애: 원래 목표 수신 지역에서는 신호가 약해지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3. 레이더 오류: 레이더 시스템에서 덕트 효과가 발생하면 잘못된 표적 탐지나 거리 계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덕트형 페이딩은 대기 조건(특히 온도 역전층)으로 인해 전파가 지표면과 대기층 사이에 갇혀 먼 거리까지 전파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강도의 변동을 일으키고, 레이더나 무선 통신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