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포트 변화 과정

박기범·2023년 8월 16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9/13

스패닝 트리 포트 5가지 상태 변화 및 순서

  • disabled: 포트가 닫힌상태
    -> 포트 고장이 났거나 관리자가 셧다운
    데이터 송수신(x)
    MAC주소 학습(x)
    BPUD 송수신(X)

  • 차단(BLK): disabled 포트가 열릴때
    -> 스위치를 켜거나 포트를 열었을때의 상태
    데이터 송수신(x)
    MAC주소 학습(x)
    BPUD 송수신 (o)
    -> BPUD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이며, 로트 스위치를 선출하며, 지정 포트 및 대체 포트를 선출한다.
    포트의 역할이 루트 포트 또는 지정 포트이며20초 이후 청위 상태로 전환

  • 청취(Listening): 청취 상태에 있던 포트가
    -> 루트 포트나 지정 포트로 선출되고20초가 지나면 포트는 청취 상태로 전환
    데이터 송수신(x)
    MAC주소 학습(x)
    BPUD 송수신(o)

  • 학습(Learning): 청취 상태에 있던 포트가
    -> 15초(전송 지연 타이머)동안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학습 상태로 전환
    데이터 송수신(x)
    MAC주소 학습(o)
    BPUD 송수신(o)

MAC주소 학습이 가능한 상태이다. MAC주소 테이블을 만든다.


  • 전송(Forwarding): 러닝 상태에 있던 포트가 다시 15초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면 전송 상태로 전환
    데이터 송수신(o)
    MAC주소 학습(o)
    BPUD 송수신(o)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참고자료

profile
호스피스 병동에서 인간이 죽기전에 가장 많이 하는 후회가 한번이라도 내 방식대로, 의지대로 살아볼걸이라는 후회라고 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