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박기범·2023년 8월 8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5/13

STP (Spanning Tree Protocol)

스위치나 브리지 구성에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두 개 이상 존재할 때 한개의 경로만을 남겨 두고 나머지는 모두 끊어 두었다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때 끊어 두었던 경로를 하나씩 살린다.

STP(Spanning Tree Protocol) 기본 동작

①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를 갖는다.

   하나의 네트워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 루트 브리지(Root Bridge)란 대장 브리지 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되는 브리지(스위치)를

   말한다.
 

루트 포트 선출 조건
ID값이 가장 낮은 BPDU
경로 값
인접한 스위치 ID값이 낮은 BPDU
포트 ID값이 낮은 포트

②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갖는다.

 = 루트 포트란, 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를 말한다. 즉, 포트 브리지쪽에 가장 가까운 포트라고 보면 된다.

 =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가 있으므로 루트 브리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자동으로 Non Root Bridge가 된다. 따라서

   브리지들은 루트 브리지쪽으로 가장 가까이 있는 루트 포트를 하나씩 지정해 주어야 한다.

③ 세그먼트(Segment)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를 갖는다.

 =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 : 지정 포트)

 = 세그먼트(Segment)란, 브리지 또는 스위치 간에 서로 연결된 링크를 말한다. 즉 브리지나 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이 세그먼트에서 반드시 한 포트는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지정 포트 선출
후순위 BPDU 수신
ID값이 낮은 녀석
포트 ID값이 낮은 녀석

STP(Spanning Tree Protocol) 우선 순위

누가 루트 브리지가 될지를 정하고, 누가 루트 포트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가 될지를 정하기 위한 선정 기준

① 누가 더 작은 Root BID를 가졌는가?

②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③ 누구의 BID(Sender BID)가 더 낮은가?

④ 누구의 포트 ID가 더 낮은가?

참고자료

profile
호스피스 병동에서 인간이 죽기전에 가장 많이 하는 후회가 한번이라도 내 방식대로, 의지대로 살아볼걸이라는 후회라고 한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8월 8일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