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라우팅 종류
라우터는 다른 라우터들로부터 라우탱 정보를 수신한 다음, 그 중에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라우탱 테이블에 저장한다. 라우탱 테이블 (routing table) 이란 목적지 네트워크와 그 목적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다른 경로를 찾는다. 더 좋은 경로를 찾으면 현재의 경로를 새로운 것으로 대체한다.
Point-to-Point (1:1 네트워크)
Classsless 방식은
기존 class 별로 분류되어 있는 network 범위를 사용하지 않고 관리자가 임의대로
classful 방식은
디스턴스 백터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디스턴스 벡터 (distance vector) 라우탱 프로토콜은 라우탱 정보 전송시 목적지 네
트워크와 해당 목적지 네트워크의 메트릭 (metric) 값올 알려준다. 메트릭이란 최적
경로 선태 기준을 말하며 라우탱 프로토콜별로 사용하는 메트릭이 다르다.
대표적인 디스턴스 빽터 라우탱 프로토콜로 RIP, EIGRP 및 BGP가 있다. 이 프로
토콜들은 인접 라우터에게 라우탱 정보를 전송할 때, 특정 네트워크로 가는 자신의
한마디로 거비 비용 값이며,
RIP 라우팅
V1 = classfull 방식이며, 브로드캐스트 발송하지 않는다
V2 = classless 방식아며, 브로드캐스트 발송한다 /자동 축약 기능 비활성화 기능 있음
축약
주 네트워크 경계 (major network boundary) 에서 자동
으로 축약이 이루어진다. 이것을 자동 축약 (auto surnrnary) 이라고 한다. 다음 네트
워크의 R1 에 5.5 .16.0/24부터 5.5.23.0/24까지의 네트워크 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를 살펴보자. 이 네트워크들은 A 클래스 주소인 5.0.0.0/8을 서브넷탱한 것들이다.
R1 이 R2로 라우탱 정보를 전송할 때 SO/O 인터페이스의 주소가 1.1. 123 .1이므로 이
지점이 주 네트워크 경계가 된다. 즉 전송하려는 네트워크의 주 주소는 5.0.0.0 이고,
인터페이 스의 주 주소는 1.0.0.0 이므로 SO/O 인터페이스가 주 네트워크 경계이다. 따
라서, R1 은 개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축약하여 주 네트워크인 5.0.0.0 만 R2에게
전송한다.
R1-R2-R3
R1,R3가
R1 = 5.5.1.1
R2 - 5.5.2.2
으로 자둥으로 축약해서 라우팅을 광고를 하면, R2 같은 경우 looping 돋는다
축약 된 네트워크 대역 인 5.0.0.0으로 라우팅 주소로 등록이 되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