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 브라우저에 사용자가 url을 치면 서버에 요청해서 그 요청을 응답한다.
1. hosting (web hosting service)
- 인터넷에 사이트를 띄운다는 것은 홈페이지 구성파일들이(html, css, js) 인터넷에 항상 연결되어 있고 절대 꺼지지 않는 호스트 컴퓨터(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요청이 오면 언제든 응답한다.
2. IP
- IP(internet protocal)주소는 인터넷으로 통신하는 각 디바이스(컴퓨터, 통신장비)에 부여된 고유한 값
- 스마트폰이나 노트북부터 대규모 소매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서버에 이르기까지 인터넷상의 모든 컴퓨터는 숫자를 사용하여 서로를 찾고 통신하며 이러한 숫자를 IP주소라고 한다.
3. domain(domain name)
- 문자로 된 고유주소, 수많은 IP주소를 사람이 외워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기억하기 쉽다.
www.google.com
4. 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매핑한다.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한다.
- 이름과 숫자간의 패밍을 관리하여 마치 전화번호부와 같은 기능을 한다.
- DNS 서버는 이름에 대한 요청을 IP주소로 변환하여 최종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때 해당 사용자를 어떤 서버에 연결할것인지 제어하며 이 요청을 쿼리라고 한다.
- DNS서버란?
도메인과 서버를 연결해주는 중간서버로 도메인 이름을 인터넷상의 주소(IP주소)로 변호나시켜 원하는 컴퓨터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배포(deploy)
- 그동안 개발하던 것을 세상(인터넷)에 공개하고 모든 사람들이 접근해서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7계층(OSI 7 Layer Model)
- OSI 7계층은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네트워크 통신의 지방 시스템 상호 연결이라는 의미를 갖고있다. 네트워킹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이다.
7계층: Application Layer(응용계층)
-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User Interface의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이다.(즉, 사용자가 이용하는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등이 해당된다.
- 사용자와 가까운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6계층: Presentatin Layer(표현계층)
- 응용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를 위해 데이터를 표현한다. 데이터에 대한 통일된 형식을 제공하며 데이터 합축과 암호화 기능을 수행한다.
- 전송하는 데이터의 format(구성 방식)을 결정하는 계층
5계층: session Layer
-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할 경우 양쪽 host간 최초 연결이 되게 하고 통신 중 연결이 지속되도록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
- 통신을 하는 두 host사이에 세션을 열고, 닫고,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
- 데이터 동기화와 네트워크 오류 이벤트 검사, 오류가 발생한 지점 이휴의 데이터만 재전송 보장
7,6,5 계층을 통하여 data가 만들어진다
4계층: Transport Layer(전송계층)
-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한다.
- 정보를 분할하고 상대편에 도달하기 전에 다시 합치는 과정을 담당하는 계층
- 4계층의 단위: Segment
- 목적지 컴퓨터에서 발신지 컴퓨터 간에 통신에 있어 Error control(에러제어)와 Flow control(흐름제어)를 담당한다.
- 전송방식을 결정한다.
- 4계층 프로토콜:TCP, UDP
TCP: 신뢰성,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 connection-ful(연결을 유지하며 전송하는 방식)
UDP: 비 신뢰성, 비 연결지향성 프로토콜, connection-less(연결을 유지하지 않고 전송하는 방식, data 손실을 신경쓰지 않는다.)
3계층: Network Layer(데이터링크 계층)
- logical address(IP, IPX)를 담당하고, 패킷의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계층
- 3계층의 단위: packet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라우팅, 흐름제어, 단편화, 오류제어 등을 수행하며 IP주소를 사용한다.
- 경로선택, 라우팅, 논리적인 주소(IP)를 정의하는 계층
- routing protocol을 이요하여 최적 경로를 선택한다.
- 3계층 장비: Router
2계층: Data Link Layer(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적 계층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신뢰성을 제공하며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상위계층에서 오류 제어를 담당한다.
- Logical Link Control: 통신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책임
Media Access Control: 다중 장치가 같은 미디어 채널을 공유, 제어(Block ID+Device ID)
1계층: Physical Layer(물리계층)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표준을 정의하는 계층
- 두컴퓨터간의 전기적, 기게적, 절차적인 연결을 정의하는 계층
- 1계층 장비: Hub, Repeater
참조: https://baekjungho.github.io/network-osi/
http통신
-
수많은 개인 정보들이 오가는 만큼 인터넷 통신에 까다로운 규약(protocol)을 만들었다
-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TTPS: Secur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yper Text는 웹 문서를 구성하고 있는 언어인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을 의미한다.
-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란?
단순하게 텍스트의 의미를 넘엇 링크, 이미지 등 다양한 것들을 표현할 수 있으며 웹 문서의 뼈대를 구성한다. 모든 웹 문서는 HTML로 이루어져 있고, HTML로 이루어진 문서만이 브라우저를 통해 웹 문서로서 읽어질 수 있다.
-
HTTP 통신은 기본적으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으로 이루어져 있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그에 맞는 응답 결과를 돌려주고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에게 서버로부터 응답받은 결과를 보여준다.
-
HTTP 통신은 기본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으면 그것으로 통신이 종료된다.
-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을 때 그 정보들을 packet이라는 작은 조각에 실어 보내게 되는데 그 packet은 크게 header와 body로 되어있는데 header에는 보내는 사람의 주소, 받는 사람의 주소, 패킷의 생명시간(Time To Live, TTL)등이 담겨있고, body에는 우리가 전하고자 하는 실제 내용이 들어있다.
참조: https://cordelia273.space/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