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리뷰] Pix2Struct: Screenshot Parsing as Pretraining for Visual Language Understanding (ICML 2023)

지동환·2023년 7월 1일
0

Paper-review

목록 보기
7/7
post-thumbnail

Pix2Struct: Screenshot Parsing as Pretraining for Visual Language...

https://github.com/google-research/pix2struct

Pix2Struct

transformers/src/transformers/models/pix2struct at main · huggingface/transformers

Pix2Struct: Screenshot Parsing as Pretraining for Visual Language...

Abstract

  • Visually-situated 언어는 어디에서든 사용될 수 있다. 그 source가 diagram을 가진 textbooks부터 image와 table을 가진 web pages, 그리고 button과 형식을 가진 mobile app까지!
  • 그런 다양함 때문에, 이전 연구들은 domain에 특정하고 data, model 구조, 목적 사이의 제한된 sharing 밖에 없었다.
  • Pix2Struct : pretrained image-to-text model, 오직 visual language understanding에만 사용되고, visually-situated language를 포함하는 tasks에 fintuned 될 수 있다.
    • web page의 parse masked screenshots을 학습해 pretrained되고, 이를 단순화된 HTML을 반영한다.
    • Web에는 풍부한 visual elements들이 있고 html 구조로 반영되고 쉽다, 이는 pretraining data를 많이 주고, 다양한 downstream task에도 적합하다.
    • 직관적으로, 이런 목적인 일반적인 pretraining signals (OCR, LM, image, captioning)들을 포함한다.
  • 고유한 pretraining 전략에 더해, 다양한 해상도의 input representation을 도입하고 더 유연한 language + vision inputs의 통합을 보여주고, 질문 같은 language prompts가 input image 상단에 render된다.
    • 처음으로, 우리는 단일 pretrained model이 4개의 domain (documents, illustrations, user interfaces, natural images)에서 9개 중 6개에 SOTA 결과를 달성함을 보여준다.

1 Introduction

  • Language와 Vision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으로 image와 text가 다른 채널로 구분될 수 있는 task에 집중해 왔다.
    • VQA, image captioning 같은거
  • 하지만, visually-situated language는 더 퍼져있는 방식이고, 이러한 modality가 서로 섞이고 상호작용 한다.

  • 예를 들면, documents, tables, infographics, UIs 들은 전체적으로 사용되게 의도되었고, 글자와 이미지 사이의 명확한 경계가 없다.

  • 이러한 정보의 포괄적 이해는 단어를 이해하고, 언어를 이해하고, 다양한 visual context와 협력하는 다양한 skill들이 필요하다.

  • visually-situated language 이해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산재되어 있다.

    • 주 초점이 전형적으로 가능한 inputs과 tools에 대한 task-specific한 복잡한 조합 뿐이었다.
      • document-understanding models은 외부 OCR systems
      • UI-understanding models은 platform-specific structural metadata
      • diagram-understanding models은 diagram parses.
  • Domain-specific engineering은 고해상도 환경 (e.g. 문서)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다. → 풍부한 도구와 데이터가 있다면.

  • 하지만, 이러한 pipelined models은 underlying data, model, architectures, objectives across domains의 공유가 부족하고, 그들의 일반적인 applicability를 제한한다.

  • 또한, OCR 같은 외부 시스템에 의존하는 건 공학적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adaptability를 제한하고, 전반적인 계산 cost를 증가 시킨다.

  • 최근의 연구 중 images로부터 직접 OCR-Free, end-to-end document 이해가 시도되었다 → task-specific한 engineering을 줄이고 pretraining 중 OCR outputs을 decode 하도록 학습해 inferece 중 외부 요소의 의존도를 낮추고자 했다. ⇒ 훨씬 일반적인 모델로의 진보.

  • 하지만, 표면적 레벨의 text에만 집중하는건 unsupervised data에서 변환되는 knowledge의 depth를 제한한다. ⇒ Pixel-only model의 효과적인 사용은 Open challenge이다.

  • Pix2Struct를 제안. pretrained model → 순수히 pixel-level의 inputs의 단순함 + 다양하고 풍부한 web data를 사용한 self-supervised pretraining로 제공되는 generaility와 scalability와 조합

  • 특히, screenshot parsing objective를 제안 → web page의 masked input에서 HTML 기반 parse 예측을 요구.

  • HTML이 text, images, layouts에 대한 clean, vital signals을 제공하고, masked inputs이 그들의 co-occurrence에 대한 joint reasoning을 유도함.

  • web에서 발견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textual + visaul elements 덕분에, Pix2Struct는 web page에 대한 풍부한 representation을 배우고, 다양한 downstream visual language understanding task에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였다.

  • 이러한 transfer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재료는 인간 독자들의 읽도록 의도된 것처럼 inputs을 시각적이고 전체적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 ViT에 다양한 해상도의 inputs을 넣는데, 이는 문서, 그림, UI마다 매우 다양할 수 있는 원본의 가로세로비를 왜곡하는 것을 방지한다.

  • finetuing 중, 우리는 다른 inputs (VQA의 질문, UI tasks의 bounding box)를 task의 image imput으로 render 한다.

  • 그 결과로, 모든 다른 inputs을 single modality로 통합하고, 이전 work의 modality combination 문제를 단순화 한다.

  • 282M, 1.3B parameters에서 학습. ⇒ 각각 Pix2Struct-Base / Pix2Struct-Large.

  • C4 corpus에서 web pages 80M screenshots.

  • 4 domain과 9 tasks에서 실험 ⇒ 우리 모델이 Donut (기존 pipeline이 없는 SOTA)보다 훨씬 나았다.

  • domain-specific한 pipeline을 가진 baseline과 비교했을 땐, 고해상도 (문서, 자연 이미지)에서는 SOTA에 밀렸지만, low-resource domain (illustration, UI)에서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 우리의 연구가 이러한 general-purpose methods 연구를 진흥시키면 좋겠고, language + vision의 파편화 되어 있는 결합에 새로운 적용을 가능하게 하면 좋겠다.

우리의 기여 요약

  • general-purpose visually-situated language understanding을 도입, 다양한 task로 이루어졌지만, 일반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 Web page의 HTML source objective에 기반한 screenshot parsing pretraining을 제안.
    • 우리의 objective가 더 효과적이고, 이전 시도보다 elegant한 pixel-to-text design을 가능하게 함.
  • ViT에 다양한 해상도의 input representation을 도입했고, 새로운 fine-tuning 전략 (language와 vision inputs을 직접적으로 통합) input image 위에 language prompts를 직접적으로 rendering 한다.

2 Method

2.1 Background

  • 이전 연구는 주로 document와 natural image에 집중해 왔다.

    • 문서 : Donut, Dessurt가 표면적 level의 feature에 기반해 pretrained했다.
    • natural img : GIT2, PaLI가 대규모 image captioning data를 naturl images 데이터셋으로 잘 tranfer했다.
  • 우리의 목표는 여러 task, domain에 사용될 수 있는 단일한 pretrained model을 만드는 것이다.

  • 우리 model의 input은 raw pixel only의 image이고, output은 token sequence 형태의 text이다 (Donut과 유사)

  • 목표는 visual판 T5를 만드는 것인데, 단순한 inputs과 outputs의 일반성이 대규모 unsupervised source의 data의 힘과 결합하는 것이다.

  • finetuning 중, downstream task에 적용하는 복잡함은 오직 data preprocessing에 달려있다.

  • visual context 없이도 text를 위한 pixel-only language modeling은 오직 최근에만 시도되었다.

    • 아마 여러가지 어려운 sub-problem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1. 높은 신뢰도로 읽는 동시에 풍부한 high-level representations을 만드는 능력은 어려운 최적화 문제이다.
      2. text-heavy한 inputs (긴 문서 같이)을 encoding 하는건 다양한 가로세로비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SOTA 문서 이해 model은 (LayoutLMv3)은 (noisy 할 수도 있는) 저해상도 image의 OCR outputs을 조합해서 만든다.

  • 우리는 OCR에 의존하는게 더 일반적인 목적의 representation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다고 주장한다.

  • 우리는 Pix2Struct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했음을 보인다.

    • 2.2 : transformer가 다양한 가로세로비와 화질을 다루기 위해 했던 수정
    • 2.3 : 우리가 제안하는 screenshot parsing objective
    • 2.4 : Curriculum learning이 더 robust한 trasfer learning을 가능하게 하는가
    • 2.5 : 어떻게 Pix2Struct가 textual + visual inputs을 같은 space에서 처리하는가 ⇒ finetuning 중 text inputs을 image 위에 rendering 한다.

참고 - Donut

  • Clova!

  • 전반적인 pipeline
    • (b) : text detection, 위치 뽑아내기
    • (c) : 각각의 box recognizer로 들어간다.
    • (d) : 인식된 글자와 위치가 들어가서 최종적인 구조를 만듦.

  • End-to-End model로 학습시켰다.

  • Encoder : CNN, Transformer 다 가능. 연구에서는 Swin Transformer를 사용.
  • Decoder : BART를 사용.
  • Model input : 이전 timestep의 output이 아니라 ground truth를 input으로 사용했다.(teacher-forcing strategy)

BART

  • T5는 그냥 vanilla Transformer네?

2.2 Architecture

  • image-encoder-text-decoder는 ViT.

  • model 구조는 매우 일반적. 하지만 작지만 매우 영향이 큰 변화를 도입함. → visually-situated language의 various forms에 더 robust하게 만듦.

  • fixed-size patches를 추출하기 전에, 일반 ViT는 사전 정의된 해상도로 scale을 바꾸는데, 이게 의도하지 않은 결과 두 개를 만든다.

    1. image를 rescaling 하면 원래 가로세로비가 깨진다.
      a. 이는 문서, mobile UIs, figures에서 매우 변화하기 쉽다.
    2. 이러한 models을 더 높은 해상도의 downstream task로 변환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b. model이 pretraining 동안 오직 하나의 특정한 해상도만 봤기 때문에.
  • 대신, 우리는 input image를 항상 up 또는 down scale해서 주어진 sequence length에 맞는 최대의 patches를 뽑아낼 수 있게 했다.

  • Appendix A. 이전 방식은 input image를 고정된 해상도로 rescale 했는데, 문서나 webpage에서 엄격한 가로세로비의 왜곡을 가져온다.
  • model이 다양한 해상도를 모호하지 않게 다루기 위해서, input patches를 위해 2차원 절대값 positional embedding을 사용한다.
  • 표준 ViT에서 이러한 변화와 함께, robustness 관점에서 두 가지 이점이 있다 :
    1. 우리가 실험했던 domain에서 일반적이었던 극단적인 가로세로비
    2. sequence length와 resolution의 on-the-fly (즉석) 변화

2.3 Pretraining

  • Pix2Struct pretraining의 목적은 input image의 underlying 구조를 표현하는 것이다.
  • 종국에는, web corpus에서 input images와 target text 쌍의 self-supervised pairs를 만드는 것이다.
  • pretraining corpus 안의 각각의 web page에 대해, screenshot과 HTML source를 모으는 것부터 시작한다.

Screenshot parsing inputs & outputs

  • screenshot과 HTML은 pretraining 동안 rich하고 dencse한 learning signal을 확실히 만들 수 있게 수정된다.

    • 이러한 수정본은 page의 semantics을 보존하는 것과 실용적인 decoder sequence 길이를 요구하는 것 사이의 reasonable한 trade-off이다.
  • HTML DOM tree를 다음으로 농축 시킨다.

    1. visible elements를 가지거나 그의 자손들의 node만 남기고
    2. node가 visible elements를 포함하지 않고 오직 하나의 child만 가지고 있으면, chained nesting을 제거하기 위해 singleton child를 아무 grandchildren으로 바꾼다.
  • 각각의 node에서, filename과 대체 text로 표현되는 text와 image에 대한 정보만을 남긴다.

  • 더 많은 정보가 보존될 수도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래에 맞긴다. (element tag, bounding boxex, title, URL 등등)

  • decoder sequence length는 linearized 될 때 predefined된 sequence length에 fit 하는 largest subtree를 찾음으로서 더 감소한다.

  • bounding box가 가리키는 chose subtree로 cover 되는 영역 또한 screenshot에 그려진다.

  • 더 나은 context modeling을 위해, BART-like의 learning signal을 도입했다 ⇒ 전체 subtree를 decoding 할 때 50%의 text를 masking 했다.

  • 이 masked 영역은 선택된 subtree의 text에서 랜덤하게 sample된 영역이고, crossed-out의 불투명한 boxes를 쳤다.

Comparison to existing pretraining strategies

  • 우리가 제안한 screenshot parsing은 여러 잘 알려진 pretraining 전략들을 연상케 하는 signals을 틈 없이 연결했다 :
  • parse의 unmasked 부분을 복원하는건 언어를 이해하는데 사전에 필요한 기술인 OCR과 유사하다.
    • OCR preatraining은 Donut에서 제안되었는데, synthetic renderings 또는 예측된 OCR outputs을 사용했다.
    • Figure 2에서, <C++>을 예측하는 것은 이러한 learning signal을 실증한다.
  • parse에서 masked parts를 복원하는 것은 masked language modeling(BERT)에 훨씬 가깝다.
    • 주요한 차이점은, visual context가 종종 더 날카로운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힌트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 Figure 2에서, 을 예측하는 것은 이러한 learning signal을 실증한다.
  • image에서 대체 이미지를 복원하는 것은 image captioning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략이다.
    • 주요한 차이점은, 이 모델은 web pages를 추가적인 context로 사용하는 것이 허락된다는 점이다.
    • Figure 2에서, img_alt=C++ 을 예측하는 것은 이러한 learning signal을 실증한다.

Appendix E.

2.4 Warming Up With a Reading Curriculum

  • 우리는 screenshot parsing task에 대해 Pix2Struct를 직접 pretrain 할 수 있지만, naive하게 이걸 하는건 instable하고 slow learning이 된다.
  • 그러나, 만약 우리가 모델을 처음에는 쉽게 읽는 법을 배우는 짧고 강렬한 “warmup” 단계에 넣는다면, 강력한 curriculum learning의 효과를 볼 수 있다.
    1. pretraining이 더 stable 하고 더 빨리 수렴한다.
    2. 더 나은 finetuning 성능을 보인다. (Section 5에서 논의할 것)

  • 특히, 우리는 흰색 배경에 랜덤한 색과 폰트의 text snippets의 이미지를 만든다.
    • 모델은 쉽게 original text를 decode할 수 있다.
    • 이런 방식은 Dessurt model에서도 사용되었고, Donut의 pretraining의 단순화 된 version으로 볼 수도 있다.

2.5 Finetuning

  • Pix2Struct를 finetuning하는 건 단순하고, downstream data를 모호하지 않게 image inputs과 text outputs이라는 task를 반영하도록 preprocessing 하는 문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 T5가 text-based tasks에 사용되는 방식과 유사하다.

  • 이 Section에서, tasks에 대한 preprocessing 전략이 Table 1에 정리되어 있다.

    • 이러한 preprocessing의 결과는 Figure 1이다.
  • Captioning은 가장 명확하다, 왜냐하면 input image와 output text가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 Caption의 목표가 특정한 bounding box를 그리는 거라면 (Widget Captioning처럼), 우리는 target bounding box를 image 그 자체에 그려 넣는다.

  • VQA (OCR-VQA, ChartQA 등)에서, multimodal model들이 question을 위한 특별한 text channel을 일반적으로 유지했지만, 우리는 원본 이미지 상단에 직접적으로 질문을 render 했다.

    • Pix2Struct는 visual modality로 question과 image를 함께 읽는다.
  • 이러한 전략은 단순히 모든 input을 finetuining 중에 concat 하는 것에서 배운 것

    • GPT에서 처음 제안
    • NLP에서 기본처럼 사용되어 옴
  • 직관적으로, 이러한 전략은 효과적인데, Pix2Struct가 input image의 다양한 부분 사이의 넓은 범위의 상호작용에 민감하게 pretrained 되었기 때문이다.

  • 여러 선택지가 있는 경우에 (AI2D처럼), choices들도 이미지 상단에 넣었다.

  • 가장 복잡한 시나리오는 RefExp인데, 자안여 설명이 언급하고 있을 UI 요소 중에서 선택하는 것.

  • 각각의 후보에 대해, input image가 bounding box와 referring expression을 가지고 있는 training instance를 만들었고, decoding target은 “true” 또는 “false”이다.

  • 우리는 training 동안 긍정적인 candidate 당 5개의 negative candidate를 만들었다.

  • Inference 동안, model이 만든 “true” score가 가장 높은 candidate를 선택했다.

3 Experimental Setup

3.1 Benchmarks

  • Visually-situated language understanding의 여러 도메인 통합
    • illustrations
    • user interfaces
    • natural images
    • documents
  • task-format 뿐만 아니라 다양한 domain에서 최적화 했다.
  • Evaluation metrics도 각각에서 원본에 지정된 방식을 사용

3.2 Implementation and Baseline

Pretraining

  • 두 가지 모델
    Parameterstransformer layersa hidden sizestepsbatch sizeGPU
    base282M12768270K307264 GCP TPUs
    large1.3B181536170K1024128 GCP TPUS
  • 두 모델 모두 warmup stage를 거침
    • BooksCorpus에서 만들어진 text
    • 30K steps

Baselines

  • 모든 task에 대해서 많은 수의 method를 baseline으로 확인함.
  • 각각의 domain에서 SOTA와 비교.
    • 많은 모델들이 ensemble, 다른 dataset에서 온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 multi task, validation data를 training에 사용했다.
    • 공정하고 쉬운 비교를 위해, standard split의 single-model과 single-task baseline에 집중했다.
  • 여러 SOTA가 domain-specific inputs을 사용해서, 다른 domain에 비교하는게 어려웠다.
  • Domain 사이의 강하고, 지속성 있는 visual baseline을 위해, 순수한 visual baseline이 사용 불가능한 경우 모든 경우에서 Donut을 finetuned해서 사용했다.

4 Results

  • 이전 연구와 Pix2Struct를 비교해 보겠다.

4.1 Illustrations

ChartQA

  • VQA Data.
  • VisionTaPas가 이전 SOTA ⇒ 큰 격차로 따돌렸다.

AI2D

  • 기존 SOTA DQA-NET을 따돌림

OCR-VQA

  • GIT2가 현재 SOTA.
    • 12.9 image caption pairs로 학습
  • 우리는 추가 데이터를 더 쓰지 않았음에도 1퍼센트 상회함.

4.2 UIs

RefExp

  • UIBert가 SOTA
  • Pix2Struct는 94% 정확도로 SOTA

Widget Captioning

  • VUT가 SOTA
  • Pix2Struct-Large가 97.0 → 136.7으로 SOTA 갱신

Screen2Words

  • CIDE가 SOTA
  • Pix2Struct-Large가 64.3 → 109.4

4.3 Natural Images

TextCaps

  • GIT2, PaLI가 SOTA를 경신해 옴
  • OCR based input 없이 finetuned 됐을 때 비교할 만한 성능을 보임.
  • Pix2Struct의 Scale을 늘리면 나중에 도움이 될 듯.

4.4 Documents

DocVQA

  • 이전 SOTA Docut
  • DocVQA에서 9% 발전함.

InfographicVQA

  • ANLS 40 → Pix2Struct-Large

  • DocVQA, InfographicVQA에서 text-only baslines이 SOTA거나 근접하다.

    • text가 많은 데이터에서 visual context가 더 적은 역할을 하고, 더 성숙한 pretrained text-based encoder가 더 좋은 성능을 낸 듯.
  • 전반적으로, 우리의 pretraining의 효율성이 강조되는 모든 분야에서 Donut을 상회하는 성능을 낸다.
  • 4개의 Domain에서 9개 중 6개가 SOTA를 달성.
  • base → large로 Scale을 키운 것은 모든 task에서 성능 향상.
    • base가 large version에 비해 4.5배 많이 iteration 했음에도 불구하고.
    • 앞으로도 Scale을 키우면 더 좋은 성능이 생기지 않을까?

5 Analysis

Ablating pretraining objectives

  • 각각의 요소가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ablation
    • Screenshot Parsing은 그 단계를 통째로 빼 버림. warmup stage를 100K 더 함
  • 모든 부분이 중요하죠?
    • 특히 screenshot parsing stage. ⇒ 이러면 그냥 linear text를 읽는거랑 같음.
    • Warmup도 꽤 중요함.
  • 많은 능력들을 필요로 하는 기술인 듯.

Ablating variable-resolution inputs

  • 고정된 숫자의 patches로 바꾸는 방식 비교.
    • warmup stage에서 수행됨
  • Padded : aspect ratio를 유지하고, 큰 padding을 넣음 (해상도 손해)
  • Strectched : 전형적인 ViT. padding은 없고 이미지를 왜곡함.
  • Variable-resolution : 원본 비율도 유지하면서 budget도 최대화 하는 최고의 방법. ⇒ 더 효과적인 학습!

6 Discussion

Resolution

  • Donut처럼, pretraining, finetuning 성능이 input 해상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 높은 해상도는 pixel-only model에서 bottleneck으로 작용함.
    • 그래서 OCR-based pipeline을 쓰는 이유기도 함.
    • 하지만, Donut과 Pix2Struct에서 long range transformers의 발전이 pixel-only model의 희망을 보여줌.

The visual web

  • General-purpose visual language understanding model의 첫 시도로, HTML source와 pretraining corpus, C4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집중했다.
  • 하지만, web data는 더 풍부한 multimodal signals (video, interactions)을 포함한다.
    • 우리는 미래의 general-purpose visual language understanding model이 더 나은 data 선별로 더 발전할 것이라 가정한다.
    • 또한, text-based model처럼, web content의 해로움에 대해서도 생각해 봐야한다.

Generality

  • 우리가 pixel-only model에 집중한 반면, OCR-pipeline 또는 metadata를 사용하는 것이 특정 domain에서는 좋고 심지어 필수적일 수도 있다.
  • NLP에서, pretrained text based model의 scaling이 더 나은 model 구조와 Preprocessing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너무 어렵다고 생각되어 온 새로운 일을 수행하는 능력까지 만들었다.
  • General-purpose model이 visual language에서 더 넓은 application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이러한 연구의 넓은 목적은 visually-situated language understanding의 pretraining을 text-base의 상대방과 data와 model scaling의 유사한 이점으로 향하는 길을 찾기 위한 단계이다.

7 Related Work


지금 이해가 안 되는 점

  • 우리가 하고자 하는게 뭐야 그래서
    • masked-image input : html output으로 학습 하는거지?
  • text block이 따로 있는거지?
    • 일단은 그런 듯. 근데 원본 코드에는 그냥 t5 뭐시기 호출하는게 끝임. hugging face 코드는 self-attention, cross-attention, mlp 세 개로 이루어진듯
    • 그러면 text block 이 정확이 어떻게 생겨 먹은거야? ⇒ 이제 좀 이해된다. 걍 바닐라 transformer decoder네용. t5가 그 구조. self attention, cross, mlp 이 세개.
  • C4 data에 html이 포함 됨? ⇒ URL을 기반으로 원본 HTML 검색
profile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19. 현재 학부 인턴. 인공지능을 공부하는 중. 주 관심사는 Graph, Vision, 그리고 TRUE AGI.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