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정의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상호연관성이 있는 상태이다.
엔터티 간 논리적인 연관성을 의미한다.
존재에 의한 관계와 행위에 의한 관계로 구분된다.
관계의 페어링
관계의 분류
존재에 의한 관계
ex) 소속된다
행위에 의한 관계
ex) 주문한다
관계의 표기법 (관계명)
엔터티가 관계에 참여하는 형태를 지칭한다.
각각의 관계는 두 개의 관계명을 가질 수 있다. 즉 각각의 관계명에 의해 두 가지의 관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능동적,수동적)
관계의 명명 규칙
애매한 동사를 피한다.
현재형으로 표현한다.
관계의 표기법(관계차수)
두 개의 엔터티 간 관계에서 참여자의 수를 표현하는 것을 관계차수라고 한다.
1:1, 1:M, M:M
관계의 표기법(관계선택사양)
"반드시 지하철의 문이 닫혀야만 지하철은 출발한다"
지하철 출발과 지하철 문닫힘은 필수적으로 연결관계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 모델의 관계에서는 필수참여 관계가 된다
지하철의 출발을 알리는 안내방송은 지하철의 출발과 상관없이 방송해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안내방송시스템이 고장이 나도 지하철 운행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지하철의 출발과 지하철방송과는 정보로서 관련은 있지만 서로가 필수적인 관계는 아닌 선택적인 관계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것이 데이터 모델 관계에서는 선택참여관계가 된다.
관계 읽기
기준 엔터티를 한개또는 각(Each)으로 읽는다.
대상 엔터티의 관계 참여도 즉 개수를 읽는다.
관계선택사양과 관계명을 읽는다.
ex)
각각의/하나의 기준엔터티 관계차수 대상엔터티 필수/선택 관계명
각각의 고객은 여러 개의 주문을 때때로 주문한다
각각의 주문은 하나의 고객을 반드시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