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층 확대
웹 접근성을 확보하면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 소외 계층도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만큼 사이트의 이용자를 늘릴 수 있고,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웹 접근성 향상을 통해 매출이 증가한 외국 쇼핑몰 사례도 있으며,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노년층의 매출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양한 환경 지원
정보 소외 계층이 아니더라도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운전 중이라 화면을 보기 어렵거나,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이 있다.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면 다양한 환경, 다양한 기기에서의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서비스의 사용 범위가 확대된다. 자연스럽게 서비스의 이용자 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적 이미지 향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있는 상황에서, 웹 접근성 확보를 통해 기업이 정보 소외 계층을 위한 사회 공헌 및 복지 향상에 힘쓰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가 향상되면 그만큼 이용자 수의 증가는 물론 충성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늘어나게 된다.
<div role="button">div이지만 button으로 사용되는 요소</div>
⚠️ 주의할 점, HTML 요소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WAI-ARIA로 또 설명해줄 필요는 없다.
// WAI-ARIA의 잘못된 사용 예시
<button role="button">button인 요소</button>
⚠️ 시맨틱 요소 본연의 의미를 임의로 바꾸지 않아야 한다.
// WAI-ARIA의 잘못된 사용 예시
<h1 role="button">h1인 요소</h1>
🤔 aria-selected
여러 개의 선택 가능한 요소중에서 선택 상태인 요소를 표시할 수 있는 속성
<div role="tabList">
<li role="tab" aria-selected="true">Tab1</li>
<li role="tab" aria-selected="false">Tab2</li>
<li role="tab" aria-selected="false">Tab3</li>
</div>
<div role="tabpanel">Tab menu ONE</div>
<div role="tabpanel">Tab menu TWO</div>
<div role="tabpanel">Tab menu THREE</div>
3개의 탭 중에서 첫 번째 탭이 선택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아코디언 UI가 펼쳐진 상태인지 표시해주는 aria-expanded
, 요소가 숨김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aria-hidden
등의 속성이 있다.
🤔 aria-label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전혀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텍스트 콘텐츠 없이 이미지로만 만들어진 버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미지만 들어있는 버튼의 경우, HTML 요소의 구조만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버튼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button> <img src="X.png" /> </button>
<button> <img src="돋보기.png" /> </button>
물론 버튼 요소에 숨겨진 자식 요소를 추가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는 내용을 추가해줄 수 도 있지만,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WAI-ARIA 속성이 바로 aria-label
이다. 요소에 라벨을 붙여주는 기능을 가진다. 해당 요소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의미를 부여해줄 수 있다.
<button aria-label="닫기"/> <img src="X.png" /> </button>
<button aria-label="검색"/> <img src="돋보기.png" /> </button>
🤔 aria-live
해당 요소가 실시간으로 내용을 갱신하는 영역인지 표시한다. 즉, 브라우징 도중에 내용을 띄우는 alert, modal, dialog 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이거나, AJAX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내용을 갱신하는 영역에 사용하는 속성이다. 시각 장애인들은 화면의 동적인 요소를 알아채기 어렵기 때문에, 이 속성을 사용해서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내용을 알려주면 큰 도움이 된다. 속성 값으로는 polite, assertive, off(default)가 있다.
polite : 스크린 리더가 현재 읽고있는 내용을 모두 읽고나서 갱신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
assertive : 스크린 리더가 현재 읽고있는 내용을 중단하고 갱신된 내용을 바로 사용자에게 전달